청와대의 인적 쇄신이 조만간 단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TK 퇴조'가 뚜렷해지고 있어 역차별 및 소통 차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에 따르면 정정길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중폭 이상의 수석비서관급 참모진 개편이 이른 시일 내에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대통령도 참모진이 올린 인사안에 대해 일부 세부 사항만 보완 지시를 한 것으로 전해져 개편 구상을 거의 마무리지은 것으로 보인다.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정 실장의 경우 유임보다는 교체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후임에는 윤진식 경제수석이나 김경한 법무장관이 거론되고 있지만 '깜짝 카드'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미 사의를 표명한 정동기 민정수석도 교체가 유력하다.
TK 인사로 분류되는 정 실장과 정 수석이 퇴진할 경우 청와대 수뇌부에는 지역 연고 인사가 한 명도 남지 않게 된다. 후임자 물망에도 대구경북 출신은 거의 거론되지않고 있어 집권 2년차인 이명박 정부에서 'TK 배제' 분위기는 확연해지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이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특정 지역 편중' 논란에 부담을 느끼고, 올 초부터 인사에서 지역 안배를 최우선적으로 챙길 것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청와대 내외부 인사를 맡고 있는 대통령실장 산하 인사비서관실과 총무비서관실의 경우 TK 출신 행정관들이 줄줄이 물러나고 있으며 새로 충원되는 경우도 충청·강원권 등 타지역 일색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인사의 밑그림은 최근 강조되고 있는 중도 실용 노선과도 맞물려 있다"며 "지역 안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한편 이 같은 분위기를 여권 내부의 주도권 싸움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일부 인사들이 '지역 대립구도'를 해소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TK 흔들기'에 나서고 있다는 것. 실제로 최근 행정관 인사에서 지역 출신들이 '무능력', '이권 개입' 등의 여론 비판을 받으며 물러나 이 같은 분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