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새 청사 어디에 짓나

現청사 주차장-도청부지-법원부지 등 5~6곳 후보지마다 유치전

대구시 신청사 건립 문제가 내년 지방 선거를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시는 장기 미제 현안인 신청사 건립 추진을 위해 올 12월 8천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이전 청사 위치와 규모 등에 대한 용역을 발주한 뒤 공청회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신청사 건립에 대해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10여년간 표류해 온 만큼 더 이상 늦출 수 없어 연내 용역 발주에 들어갈 예정이다. 기존에 거론된 이전 후보지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구시는 2005년 신청사 건립추진기획팀을 가동하고 신청사 건립 타당성 조사까지 실시했으나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해 청사 이전을 무기한 보류했다.

현재까지 거론된 신청사 방안은 청사 맞은편 주차장에 신청사를 건립해 현 청사와 구름다리로 연결해 단일 건물 형태로 사용하는 안과 타지역으로 이전해 건립하는 두 가지 안으로 정리할 수 있다. 위치를 옮길 경우 후보지는 이전이 예정된 북구 경북도청 부지와 대구법원, 달서구 두류정수장 부지 등 5, 6곳 정도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구·군별로 이전 후보지 신청을 받은 결과 8개 구·군 모두 시청 이전을 희망했다"며 "어느 한 지역으로 이전이 확정될 경우 빠진 지역의 반발이 예상되고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있어 이전 후보지 문제는 용역 결과가 나와도 쉽게 확정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관계자들은 대구시청 신청사가 현 위치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전망을 하고 있다.

이전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근성에서 가장 양호한 데다 시 청사가 외곽으로 이전할 경우 도심 공동화 문제가 불거지기 때문이다.

대구시 청사는 전국 광역시 중 가장 초라하다. 건축면적은 1만9천㎡로 부산시(11만6천㎡), 대전시(7만8천㎡), 광주시(7만1천㎡)에 비해 상당히 협소한 상태며 직원 1인당 면적도 다른 광역시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또 청사 부족으로 환경녹지국과 교통국, 인재개발원, 종합건설본부, 소방본부 등 10여개 산하 조직이 시청 밖에 별도의 건물을 빌려 사용하고 있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