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개각에서 장관직에 내정된 대구경북 출신 국회의원 두 명도 인사청문회의 칼날을 피할 길이 없어 보인다. 가장 든든한 우군인 지역 정치인들도 단단히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여당 소속이면서 정치적 맥을 같이했던 지역 의원들이지만 개각 발표 즉시 청문회 준비에 들어가는 등 깐깐한 검증을 예고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최경환(경산·청도) 지식경제부 후보자는 국회 지식경제위 소속 김태환(구미을), 이명규(대구 북갑) 의원 등이 인사 검증 작업에 착수했고, 주호영(대구 수성을) 특임장관 후보자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이한구(대구 수성을) 의원의 예봉이 기다리고 있다.
김 의원은 최 후보자의 전문성을 짚고 넘어간다는 계획이다. 최 후보자의 경력이 기획재정 쪽에만 치중돼 있어 지경부 업무에는 다소 서툴다는 것이다. 최 후보자의 발탁 배경 중 하나가 경제 분야 전문성인데 이 부분이 흠집날 경우 타격은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
김 의원은 4일 "실물과 이론 경제는 너무도 상이하고 그 해법도 다르다. 재정 전문가인 최 후보자가 어떤 실물 경제 사고를 하고 있는지 반드시 짚고 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제가 드러날 경우 그냥 넘어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같은 상임위인 이명규 의원도 벼르고 있다. 그는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인데 개인적 친분을 앞세워 인사검증을 대충하는 것은 시간 낭비"라며 철저한 검증을 예고했다. 그는 국정 핵심 과제가 애초 계획과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는 점을 집중 문제제기하고 후보자의 견해를 전해 듣는다는 계획이다.
이한구 의원은 주 특임장관 후보자를 겨냥 "야당이 알아서 검증하겠지만 여당이라고 감싸기만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특임장관이 앞으로 뭐를 계획하고 실행하려는지 국민이 알고 싶어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부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의원들이 지역 출신 장관 후보자 검증을 제대로 하려는 이유는 이명박 정부 집권 2기의 국정 성공을 위해서라도 대통령 주변 인사들의 인사 검증을 국민이 원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역차별론'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