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 알리미 정보중 유용한 것은…진학·취업 비율

공시방식 문제…"결과 왜곡 쉽다" 분석도

고교들이 학교알리미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 가운데 학생, 학부모들이 가장 솔깃해하는 것은 졸업생 진로 정보다. 4년제 대학에는 얼마나 진학했는지, 전문계고라면 대학 진학과 취업의 비율이 어떠한지 등을 손쉽게 학교 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 여긴다. 하지만 현재 학교알리미에 올라온 정보는 너무나 미흡해 오히려 결과를 왜곡하기 쉽다는 지적이 많다.

이달 초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연구보고서 '고등학교별 대학진학률 차이와 그 의미'(연구책임자 류방란, 김성식)는 현행 대학진학률 공시방식의 문제를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학교알리미를 통해 고교별 대학진학률을 비교하는 것은 가능하다. 대구의 어떤 학교가 4년제 대학에 졸업생의 몇%를, 전문대학에 몇%를 진학시켰는지 단순 비교하는 일은 누구나 해볼 수 있다. 그러나 대학진학률이 높다고 그 학교에 입학했을 때 원하는 대학에 갈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는 건 아니다. 대학 진학의 결과에는 단순히 이전의 진학률이 아니라 재학생의 성취 수준, 가정배경, 해당 고교의 대학 지원 경향 등 다양한 요인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는 2003년에 고교 2학년이었던 전국 189개 고교의 9천391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전문대학까지 포함한 이들의 대학진학률 평균은 78.2%였다. 상위권 대학(서울대, 연·고대, 카이스트, 포스텍, 전국의 의·치·한의대) 진학률 평균은 4.5%였고, 서울의 4년제 대학을 포함하면 13.3%였다. 지방 4년제 대학 진학 비율은 평균 40.4%, 전문대학은 24.5%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과 고교별 진학률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표에서 학교별 차이를 보여주는 표준편차와 최대값을 눈여겨볼 만하다. 상위권 대학 평균 진학률이 4.5%인데 학교에 따라서는 85.7%까지 진학시킨 곳도 있다. 서울 4년제 대학까지 포함한 평균은 13.3%이지만 가장 성적이 좋았던 학교는 90.6%까지 진학시켰다. 고교 간 질적 차이를 말한다.

표 역시 흥미롭다. 대학진학률만 봐서는 알 수 없는 평균 성적이 상위 대학으로 갈수록 확연히 드러나는 것이다. 전문대학을 포함한 대학진학률은 평균 성적 상위 학교에 비해 오히려 중위 학교가 높은데 상위권 대학 진학률에서는 14.1%와 1.2%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지역별 진학 현황을 보여주는 표도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전문대학을 포함한 대학 진학률은 중소도시와 읍면 단위 고교들도 높은 편이지만 상위 대학으로 갈수록 서울, 광역시와 격차가 커짐을 알 수 있다. 단, 서울 4년제와 지방 4년제 진학률은 지리적 조건 때문에 대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감안하면 의미는 작다.

여기에 학교별로 다른 교육 특성, 그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가정배경 등의 요소까지 작용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학교알리미에 공개하는 대학진학률은 보다 많은 변수, 참조 수치, 비교 자료 등을 함께 보여줄 때 학생, 학부모들의 올바른 판단을 끌어낼 수 있다. 갈수록 다양해지는 고교 유형과 확대되는 고교 선택권을 고려할 때 학교알리미 보완은 한시가 급한 일이다.

김재경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