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구주로 돈벌러 가서
남의 땅 부두에서 등짐 지고 모은 품삯
돌아와 한밭보에 논마지기 장만하고
하루종일 축대쌓기를 낙으로 삼던 네 아비
아직도 근력좋게 잘 계시느냐
우리가 살던 지동댁 그 빈 집터에
앵두꽃은 피어서 흐드러지고
네가 태어난 산골에 봄이 왔구나
아이구 피난 피난 말도 말아라
대포소리 기관포소리 말도 말아라
우리 모자가 함께 흘린 그해의 땀방울들이
지금 이 나라의 산수유꽃으로 피어나서
그 향내 바람에 실려와 잠든 나를 깨우니
출아 출아 내 늬가 보고접어 못 견디겠다
행여나 자란 너를 만난다 한들
네가 이 어미를 몰라보면 어떻게 할꼬
무덤 속에서 어미 쓰노라
시가 주는 느낌은 음악이나 미술과 비슷하다. 텍스트가 기호화 되었을 때의 추상성이 그렇다. 하지만 시에서 서사적 고양도 있다. 이동순의 「서흥김씨 내간」이 그 대표적 예이다. 내간이란 원래 여인들의 한글 서신이 아닌가. 시의 형식은 저승의 어머니가 이승의 자식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이다. 조근조근 어머니가 아이들에게 일러주듯 속삭이듯 입말의 편지이다. 몇 번 읽어보면 어머니의 실루엣이 떠오르고 이젠 어른이 된 아이의 모습이 겹쳐지면서 익숙한 풍경이 펼쳐진다. 햇살 맑은 툇마루에서 곱게 차려입은 중년의 어머니가 훌쩍 자란 자식을 대견하게 바라보는 눈매 고운 정겨운 풍경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