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간단체' 보다 못한 동북아역사재단

정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이 동해·독도 관련 표기오류 등 해외 역사 왜곡사례를 찾아내 고친 실적이 민간 사이버 외교사절단인 '반크'의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은 12일 동북아역사재단(이하 재단)의 '역사왜곡 시정결과'를 분석한 결과 재단이 2006년 9월 설립 후 지금까지 해외 기관에 요청한 역사왜곡 관련 시정 실적은 단 3건인 반면 민간 시민단체인 반크가 2003년부터 해외 역사왜곡 사례를 시정한 것은 62건으로 연평균 8.85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권 의원에 따르면 재단이 해외 기관에 요청한 역사왜곡 관련 시정요청 건수는 단 10건에 불과했으며 이 중 시정된 것은 3건으로, 모두 중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이와 함께 동북아역사재단 산하 '독도연구소'가 지난해 설립 이후부터 지금까지 동해 및 독도 표기오류가 검색된 836건 중 시정을 한 실적은 4건에 불과한 반면 반크의 경우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30.7건의 동해·독도 관련 표기오류를 시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반크가 동북아역사재단에 비해 시정실적이 크게 앞서는 것은 한국인 또는 해외 거주 한국인들이 회원으로 가입할 경우 해외 웹사이트에서 오류를 찾는 법, 시정서한 작성법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개개인이 사이버 상의 외교관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고 있고, 1만6천여명의 반크 소속 사이버 외교관들이 해외 관공서, 유명 사이트 등에서 오류를 확인한 뒤 직접 서한을 보내 시정요구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

이에 대해 권 의원은 "표기 오류 시정 사업은 지원과 함께 민간에 맡기고 동북아재단은 해외 역사 왜곡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논리를 개발하는 데 연구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