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 세계가 좋아서
골목에 서서 비를 맞는다
젖을 줄 알면서
옷을 다 챙겨입고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잃어버렸던
비의 기억을 되돌려주기 위해
흠뻑 젖을 때까지
흰 장르가 될 때까지
비의 감정을 배운다
단지 이 세계가 좋아서
비의 기억으로 골목이 넘치고
비의 나쁜 기억으로
발이 퉁퉁 붓는다
외투를 입고 구두끈을 고쳐 맨다
우리는 우리가 좋을 세계에서
흠뻑 젖을 수 있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
골목에서 비의 냄새를 훔친다
젊은 시인들의 감수성은 과연 낯선 것일까. 비오는 날 외출 준비를 하면서 비가 '소울 메이트'라는 느낌은 과연 낯선 것일까. 혹시 이 낯섦은 이제까지 우리가 그래왔던 것처럼 어떤 '낯설게 하기'의 첫걸음인가. 그래서 시간이 지난다면 이 젊은 시인들, 소위 미래파라고 불리는 그들이 감성과 언어도 우리 현대 미학 속의 보편적인 교양이고 상식이 되어버릴 것인가. 조금 더 미래파들의 운명을 지켜보아야겠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