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 수해 상습지역에 특단의 방재책 있어야

경북 안동과 영주, 봉화가 전국에서 호우, 태풍, 폭풍에 따른 피해가 가장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소방방재청이 1994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 동안 집계한 수해 발생 건수에 따르면 안동이 34회로 전남 장성군과 함께 가장 많았다. 영주는 29회, 봉화는 27회였다. 특히 안동은 피해액이 1천224억 원으로 서귀포시(1천367억 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경북 북부는 가을에서 봄까지의 가뭄과 여름의 국지성 집중 호우로 많은 피해를 입는다. 안동은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 등 매년 태풍으로 피해가 났다. 지난해 7월 24, 25일 이틀 동안 봉화에는 최대 337㎜의 비가 와 8명이 사망하고 442억 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특정 지역이 자주 큰 피해를 입는 것은 방재 시설이 모자라거나 피해 재발을 막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복구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국가나 지역, 모두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피해 복구비는 국고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자부담도 만만찮아 가뜩이나 열악한 지방자치단체 재정을 더욱 악화시킨다.

특히 우리나라는 매년 수 개의 태풍 영향권에 있고, 지형학적으로 국지성 호우가 잦다. 소방방재청의 자료에 따르면 시간당 30㎜ 미만일 때는 평균 피해액이 28억 원이었지만 50~70㎜가 오면 83억 원으로 3배나 피해가 커진다. 실제로 지난 15년 동안 시간당 75㎜의 물 폭탄이 쏟아진 사례도 91회나 됐다.

상습적인 대규모 피해 지역에 대해서는 국가가 직접 나서 특단의 방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피해 복구 때는 엄격하고 철저하게 관리 감독을 해야 한다. 수천억 원의 복구비를 쏟아붓고도 상습적으로 피해가 난다면 사후 관리가 허술한 때문이다. 사전 방재 시스템과 사후 관리의 철저함만이 자연 재해를 막을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