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창]운(運)

26년 만이다. 처음에는 그의 뇌혈관에 생긴 꽈리(동맥류)가 터져서, 이번에는 교통사고를 당해서 그와 내가 만났다. 과거에는 그를 수술해서 소생시킬 수 있었으나 이번에는 힘들 것 같다. 어떻게 하겠는가? 그것이 운인데.

다섯명이 산행을 하기로 약속했었단다. 한분은 주소지를 시골로 옮겨 그곳으로 독감 예방주사를 맞으러 가느라 참가하지 못했고, 두분은 아침 일찍 보건소에 가서 주사를 맞고 참가했다고 한다. 한명은 운전하고 한명은 조수석에, 두명은 뒷좌석에 앉았다고 했다.

산행을 가던 중 갑자기 마음이 바뀌었다고 했다. 힘든 산 오르기를 포기하고 동해바다 횟집으로 차를 몰았다고 했다. 가는 길은 단풍이 한창이어서 정신이 혼미할 정도로 아름다웠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무엇에 '꽝' 부딪쳤다. 그런데 운이 갈렸다고 했다. 운전자는 약간 찰과상을 입었는데 조수석 탑승자는 사망했다. 뒷좌석에 앉아있던 한사람은 혼수상태에 빠졌는데 그 옆 사람은 멀쩡했다고 한다.

'예방주사를 맞고 무리하게 산행을 하지 말라'고 말리는 부인의 말을 들었더라면, 횟집으로 방향을 바꾸지 않고 처음 계획대로 산행하는 쪽으로 차를 몰았다면, 환자가 옆자리 분과 자리를 서로 바꾸어 앉았더라면 하는 생각들이 떠올랐다.

의사 생활을 하다 보면 잘 치료된 많은 환자에 대한 기억은 금방 잊는다. 그러나 결과가 나빴던 소수의 환자들에 대한 기억은 평생 가슴속에 품는다. '수술을 하지 않았더라면, 수술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치료했었더라면, 장애인으로 살아가도록 살린 것보다는 차라리 사망하도록 수술하지 않았더라면' 등의 회한이 남고 '왜 그때 수술을 강력하게 권유해서, 왜 그때 과감하게 수술을 결정해서 치료하지 못했을까' 하는 후회도 한다.

낙엽이 지고 있다. 어떤 나뭇잎은 땅에 떨어져 구르고 있고 어떤 나뭇잎은 아직 나뭇가지에 붙어 바람에 흔들리고 있다. 이무영의 단편 '제 일과 제 일장', 법정 스님의 수필 '거꾸로 보기'에서처럼 가랑이 속에 머리를 처박고 거꾸로 보니 낙엽은 지는 것이 아니라 승천하는 것처럼 보인다. 훌훌 털고 아름다운 몸을 휘두르며 태생의 기원으로 돌아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운전자 옆의 사망한 분은 이미 승천한 몸이며, 환자는 승천을 준비하는 흔들리는 낙엽이며, 화를 면한 세분들도 언젠가는 결국 떨어지는 낙엽이 될 것이다. 어찌 죽고 사는 게 인위적으로 조절되겠는가? 어찌 환자가 치유되었다고 하여 의사의 힘만으로 된 것이겠는가?

임만빈 계명대 동산병원 신경외과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