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종시 수정안, 대구경북의원 27명중 2명(장윤석, 강석호)만 찬성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국회의원은 대구 경북에서 딱 2명 뿐이다. 대구 경북지역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서 찬성하는 의원은 강석호(영양 영덕 봉화 울진) 의원과 장윤석(영주)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역 국회의원 27명 중 단 두 명만이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11명은 수정안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고, 7명은 입장 표명을 유보하거나 제3의 안을 내놓았다. 일부 의원은 해외 체류 중이어서 연락이 닿지 않았다. 매일신문이 13일 지역 의원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다.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힌 강석호 의원(영양·영덕·봉화·울진)은 "현실이 이런데 (세종시) 원안을 고집하면 해결이 안 되는 것 아니냐"며 "정부가 사죄했고 수정안까지 좋게 나왔으면 절충해야지… 원안과 수정안 사이에 최대공약수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 장윤석 의원(영주)도 "정부가 고심한 국가 정책을 뒷받침해야 한다"며 "세종시 자체는 노무현 정부가 국가 분할통치를 하기 위한 전략적 산물이었으며 이를 바로잡는 것이 결과적으로 옳다고 본다"고 했다. 또 "지역균형발전은 국가적 목표인데 새 도시를 건설해 (균형발전이라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라면 수정안을 찬성한다"며 "다만 세종시 때문에 다른 지역이 역차별된다면 정부가 책임지고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원안 입장을 밝힌 의원들 대부분은 '지역 역차별'을 우려했다. "세종시는 신뢰의 문제"라고 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똑같은 이유로 반대하는 의원도 있었다.

김태환 의원(구미을)은 "발표된 수정안은 엄밀히 말해 과학을 갖다붙인 경제도시지 원안을 수정한 행정도시가 아니다"고 했다. 이인기 의원(고령·성주·칠곡)은 "충청도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 갈 기관과 기업이 가지 못하게 된다면 명백한 지역 차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구 의원(대구 수성갑)은 "지역 사업과 같은 목표를 가진 신도시를 비수도권에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수요가 없는 신도시를 만들면 나라 전체로 봐서 자원 낭비"라며 "세종시 같은 땅값 및 각종 세제, 재정지원이 이뤄지면 불공평하고 특히 오랫동안 준비해온 대구는 치명타를 입게 된다"고 했다. '지방공동화'도 우려했다.

서상기(대구 북을)·정희수(영천) 의원은 "박 전 대표와 입장이 똑같다"며 "세종시는 약속과 신뢰의 문제"라고 했다.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도 "행정중심 기능이 배제된 수정안은 또다시 국민을 속이는 것으로 정부의 수정안에 행정중심 기능을 더해야 한다"고 답했다. 성윤환(상주)·유승민(대구 동을)·이한성(문경·예천) 의원과 무소속 정수성 의원(경주)도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판단을 유보하거나 제3의 입장을 피력한 의원도 눈에 띄었다. 김성조 의원(구미갑)은 "세종시 수정안 법 개정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광림 의원(안동)은 "일단 판단을 유보한다. 지켜봐야 한다"고 짧게 답했다.

정해걸 의원(군위·의성·청송)은 "발표된 수정안에 대해 반대한다"며 "원안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며 당이나 국회 차원에서 원안과 수정안 사이에 절충된 합의를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철우 의원(김천)은 "다른 지역이 세종시와 같은 인센티브를 받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명규 의원(대구 북갑)은 "세종시 문제는 한반도 대운하처럼 국민이 원하지 않으면 하지 않으면 된다. 세종시를 정치적 문제로 끌고 가는 것은 맞지 않다"고 답했다. 주성영 의원(대구 동갑)은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그러나 주 의원과 배영식 의원(대구 중·남구)은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호영 특임장관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에게는 입장을 묻지 않았고 일부 의원은 해외 체류 중이거나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뉴미디어본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