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만5천44명의 외국인이 귀화했다.
정부 수립 이래 최다를 기록했다.
나라별로보면 ◇중국 1만9천432명(78%) ◇베트남 3천762명(15%) ◇필리핀 815명(3%) 등 49개국 외국인들이 국적을 한국으로 바꿨다.
물론 임진왜란때 일본 장수 사야가(한국명 김충선)가 조선으로 귀화, 대구에 가창 우록에 모화당이라는 사당까지 남아있지만 현대사에 접어들어서는 1957년 중국인이 귀화한 이래 누적 통계 8만832명이 한국 국적을 얻었다.
성별 귀화 외국인은 여성이 1만9천512명으로 78%를 차지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이 많은데 힘입어 여성 귀화자가 남성 귀화자보다 6배 이상 많았다.
귀화 유형별로는 다문화가정을 이루는 한국인과의 결혼귀화가 1만7천141명(68%)로 가장 많다.
한국 국적을 얻은 부모를 따라 귀화하거나(7천321명.29%) 독립유공자 후손으로 귀화한 경우(119명.0.4%)가 뒤를 이었다. 별다른 연고 없이 국내에 5년 이상 거주하다가 귀화한 사람도 56명이었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하고 있다.
뉴미디어본부 최미화 기자 cklala@naver.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