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성구청장·경산시장 후보 또 번복…한나라, 공심위 무용론

한나라당 대구시당 4월30일,6.2지방선거의 필승 결의대회 사진. [출처:한나라당 블로거]
한나라당 대구시당 4월30일,6.2지방선거의 필승 결의대회 사진. [출처:한나라당 블로거]

한나라당이 대구 수성구청장과 경산시장 공천을 놓고 엎치락뒤치락해 유권자들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중앙당과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스스로 공표한 공천 원칙에서 벗어난 후보를 공천자로 결정했다가 결국 최고위원회의에 의해 제동이 걸리는 사례를 잇따라 만들면서 공심위 무용론까지 부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6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수성구청장 후보를 내지 않겠다'는 중앙당 공심위의 4일 결정에 대해 '공천자를 선정해서 (최고위에) 올려라'며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에 앞서 대구시당 공심위가 김형렬 수성구청장을 공천자로 내정해 의결을 요구하자 지난달 29일 최고위는 수성구를 전략지역으로 선정하고 김 청장을 배제한 공천을 하라는 지침을 중앙당 공심위에 하달했다. 그러자 중앙당 공심위는 공천자를 내지 않는 '무(無)공천'이라는 방안으로 최고위의 권고를 뒤집었고, 이에 최고위가 6일 거듭 공심위 결정을 다시 뒤엎어 버린 것이다. 이 과정에서 최고위와 공심위 간에 힘겨루기 양상도 노출됐다.

이 같은 불협화음은 한나라당 지도부가 정치자금법과 공직선거법 위반 등 4대 범죄 전력자는 공천하지 않겠다는 '클린 공천' 원칙을 천명하면서부터 예고된 것이란 풀이다. 이번 공천 현장에서는 국회의원의 요청, 당선 가능성 등 다양한 현실적인 이유를 들어 예외를 수없이 만들어냄으로써 충돌을 빚었다.

대구시당 공심위는 6일 밤 긴급간담회를 갖고 최고위의 결정에 다시 반발했다. 대구시당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중앙당 공심위에 결정 유보를 요청했다. 대구시당 공심위는 또 자체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이를 중앙당에 전달하기로 했다.

경산시장 공천도 윤영조 전 시장을 결정한 경북도당 공심위에 대해 최고위가 클린 공천 원칙으로 맞선 사례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클린 공천' 원칙도 오락가락했다. 한나라당은 감사원 감사에서 비리와 수뢰혐의가 적발된 당진군수와 영양군수에 대해 서둘러 공천을 철회했다가 다시 당진군수는 공천으로 선회했다. 영양군수는 그대로 무공천이다. 감사원 감사 결과 발표 직후 한나라당 공심위원장인 정병국 사무총장은 두 군수에 대한 공천을 전격 철회하면서 "당이 제대로 후보를 검증하지 못해 죄송하다는 취지에서 이곳에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으나 이를 다시 뒤집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