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AIDS'후천성 면역결핍증) 환자에 대한 정부 지원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소식이다. 우리 사회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유독 심한 편이다. 에이즈 환자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경우 가족과 직장에서 추방되는 에이즈 환자 비율이 미국'영국'프랑스보다 훨씬 높다. 정부가 이들을 보호하지 않으면 의지할 곳이 없는 것이다.
질병관리본부 집계에 따르면 전국 에이즈 바이러스(HIV) 감염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6천917명이다. 공식 집계에 포함되지 않은 감염자까지 포함하면 최소 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2007년 전국 7개였던 HIV 감염자 쉼터가 대구와 부산 두 곳으로 줄었고 두 쉼터도 정부가 지원금을 삭감하면서 운영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2004년 문을 연 대구 쉼터는 매년 7천500만 원을 지원받았으나 지난해는 2천500만 원, 올해는 1천500만 원으로 지원금이 대폭 줄었다고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그동안 수도권 위주로 시행해 온 HIV 감염자에 대한 의료기관 상담 서비스를 지난달부터 전국으로 확대했다. 전국 보건소를 통한 감염자 및 환자 관리가 보건소의 전문성 부족과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어려움이 많다고 판단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전체 60%의 환자 및 감염자가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정부 정책은 여전히 HIV 감염 예방에만 주력하고 있다. 에이즈는 당뇨'고혈압과 같이 만성 질환화하고 있고 감염자의 80%가 20~40대다. 따라서 조기 발견해 적절하게 치료'관리하면 건강인과 같은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HIV 감염자 및 환자의 자활과 복지 개선에 중점을 둔 에이즈 정책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