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천안함 전화 외교' 국제사회 지지 얻는데 총력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전화 외교'를 통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천안함 사건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 가져가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북 제재조치를 이끌어내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군사적 대응이 어려운 현 단계에서 안보리 대응은 우리 정부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압박수단이다.

이 대통령은 20일 오전 케빈 러드 호주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국제조사단의 과학적이고 객관적 조사를 통해 천안함 사태가 북한의 군사도발이란 점이 분명히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15분간 이어진 통화에서 이 대통령은 "북한이 과거에도 대남 군사도발이나 테러를 자행한 뒤 이를 부인해왔지만 이번에는 그 같은 억지가 통용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에 대해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며 강력한 국제공조를 통해 북한이 잘못을 인정하고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일원으로 돌아오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러드 총리는 "지금까지 이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냉정한 대응을 높이 평가하며 국제공조 과정에서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19일 오후에는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천안함 사태 조사 결과 발표 때 세계 어느 나라,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하고 확실한 물증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0분간 이뤄진 통화에서 "천안함 사태는 북한의 소행이 확실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천안함 사태 조사결과 발표 이후 처리 과정에서 한일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강력한 국제공조를 추진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하토야마 총리는 특히 국제공조 과정에서 한국정부를 지지할 것이며 일본이 적극적인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앞서 18일에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가진 전화통화에서 "천안함 침몰에 대한 국제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북한 소행임이 확실하게 드러났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대통령은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긴급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해 후속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도 천안함 사태 조사결과 발표 직후 소집한 긴급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모든 직원의 비상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엄정한 공직기강을 확립하도록 지시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