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조달청 지역별 구매 물품 비중이 지역내총생산(GRDP) 수준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이 물건 구매를 통한 정부의 지역기업 지원 활동에서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같은 소외 현상은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지속되고 있어 지역 정치권과 대구시·경상북도, 대구경북 상공계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갑)이 최근 조달청으로 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조달청의 대구 소재 기업 물품 구매 비율은 전체의 2.9%에 불과했다. 대구·경북을 다 합치더라도 5.8% 수준이었다.
반면 대구와 대구경북의 GRDP(2008년 기준)는 각각 3.2%와 9.8%로 조달청 구매 비율 보다 각각 0.3%, 4.0%포인트 더 높았다.
조달청의 각종 시설 공사 발주율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5년간 대구와 대구경북 소재 기업들에게 공사를 맡긴 비율이 전체의 3.1%(대구)와 8.7%(대구경북)에 그쳐 지역 GRDP와 비교하면 각각 0.4%P, 2.9%P 떨어졌다.
이 의원은 12일 조달청을 상대로 한 국감에서 "조달청 물품 구매율과 공사 발주율이 대구경북 생산량에도 못 미치는 것은 지원이 인색하다는 것"이라며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이 의원은 "이같이 정부가 대구경북에 인색하게 지원하고 있는 현상은 지난 5년간의 통계에 나타난 것이므로 참여정부는 물론이고 이명박 정부 들어와서도 대구경북의 소외현상이 지속되는 것을 방증하는 대목"이라며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정부에게 큰 표를 몰아준 지역이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어 조달청 물품 구매·공사 발주 비율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비수도권의 GRDP은 51.85%를 차지하지만 조달청 물품 구매 36.6%, 시설 공사 수주 40.9%에 불과했다. 이 의원은 "조달청이 물품을 구매하고 공사를 발주하는 과정에서 비수도권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의혹이 든다"며 "경제가 어려워 기업이 없고, 기업이 없어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비수도권의 악순환이 더 이상 되풀이 되지 않게 정부 지원은 오히려 지방에 중점을 둬야 한다 "고 지적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m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