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환율전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미국 달러 약세 정책과 중국 위안화 절상 압력으로 촉발된 환율전쟁은 일본과 유럽연합 등 선진국과 신흥시장까지 번진 상태다. 이 과정에서 원화값도 동반상승하면서 수출기업에 비상이 걸렸고, 금융시장도 불안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는 지금 환율전쟁 중
글로벌 환율전쟁의 배경에는 풍부한 유동성과 미국의 달러 약세 정책이 깔려있다. 미국은 내수 침체와 부진한 고용상황 등으로 '더블딥' 우려에 직면하자 달러값을 낮춰 경기 부양에 나섰다. 또 경상수지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중국에 위안화 가치 절상을 요구했다.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는 전체 경상수지 적자 규모 중 60%가 넘는다. 그러나 중국이 절상 요구를 외면하자 환율 조작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에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실력행사에 나섰다. 저가 제품 중심의 수출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은 물러설 수 없는 입장이다.
양국의 신경전이 전쟁으로 확산된 계기는 일본의 외환 시장 개입이다. 경기침체 속에서 엔화의 초강세로 어려움을 겪던 일본은 지난달 15일 외환시장에서 2조엔을 풀어 달러를 사들였다. 또 기준금리를 0~0.1%로 인하하고 5조엔의 국채 매입 계획도 발표하는 등 유동성 공급에 나섰다. 환율전쟁의 불똥은 전세계로 튀었다. EU는 중국 위안화 절상을 강하게 요구하며 미국을 거든 반면, 브라질과 멕시코 등 친중 국가들은 중국 쪽에 줄을 섰다. 이 과정에서 인도 루피화를 비롯해 태국 바트, 인도네시아 루피아, 싱가포르 달러, 대만 달러 등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가치가 크게 뛰었다.
◆롤러코스터 타는 원화값
환율전쟁의 틈바구니에서 원화는 유탄을 뒤집어썼다. 하락폭이 클 뿐만 아니라 환율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 원·달러 환율은 지난 11일 3.6원 하락한 뒤 12일에는 하루 만에 14.80원이나 급등했다. 13일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값은 전일보다 000원 ~~한 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최근 한 달 동안 원·달러 환율의 하락폭도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가장 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2일 기준 원·달러 기준환율은 지난달 10일에 비해 4.59%나 떨어졌다. 이는 싱가포르 달러화 2.60%, 태국 바트화 2.59%, 일본 엔화 2.23% 등에 비해 두 배나 높은 수준이다.
신흥국가들은 통화 가치 상승으로 단기 투기자금이 몰려들자 외환 거래 규제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내놓고 있다. 브라질은 최근 외국 투자금에 부과하는 금융거래세를 4%로 올렸고 페루도 외국인 예금 보증금을 신설했다. 태국도 외국인 채권 수익에 대한 과세 조치를 검토 중이다.
◆11월이 분기점될 듯
환율 전쟁은 11월이 고비가 될 전망이다. 11월 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중간선거가 있고, 같은 달 11~12일에는 한국에서 G20 정상회의가 열린다. 미국 중간선거는 환율 전쟁의 가장 중요한 변수다. 환율조작국으로부터 수입된 제품에 보복관세를 매기는 것을 골자로 한 '환율보복법'의 법제화여부가 미국 중간선거를 전후로 결정된다. 다음달 2~3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도 눈과 귀가 쏠려있다. 이번 FOMC에서 추가 양적완화 규모가 발표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5천억~1조달러로 예상되는 양적완화 규모에 따라 달러 약세 흐름이 변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 때 환율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가능성도 높다. G20 정상회의에서 각 국가가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절하하지 않겠다는 수준에서 합의가 나온다면 환율 전쟁은 진정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위안화의 가치를 높이는 조치가 나온다면 원·달러 환율도 추가 하락할 수 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