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화칼럼] 10월에

손바닥이 화끈거린다. 저녁에 청양고추 한 봉지를 다 썰었던 탓이다. 평소엔 잘 먹지 않는 매운 고추지만 멸치조림이나 밑반찬을 만들 때는 꼭 필요한 재료가 되기도 한다.

요리할 때만 재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언어를 재료로 하는 문학, 선과 색을 재료로 하는 그림, 관념을 재료로 하는 철학, 이성을 재료로 하는 성애, 인간을 재료로 하는 정치, 환경을 재료로 하는 다양한 문화도 있다.

첨단의 재료들로 디지털 시대의 밥상을 차려낸 CEO 중에 '애플'을 창업한 스티브 잡스도 있다. 그는 20대에 인도를 여행하면서 요가와 명상에 심취했었다고 한다. 그곳에서 고요함의 소중함을 체험했고 그것이 소음과 열원 덩어리이던 컴퓨터에 팬 없는 스위칭 전원을 달아 조용한 개인용 컴퓨터를 개발해내는 동인으로 작용했었다는 것이다. 여행을 통한 문화적 체험이 개인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우리 미술 동네에서 존경받는 고 김환기 화백의 조선백자 항아리를 향한 각별한 사랑은 널리 알려져 있는 이야기이다. 경제 형편이 좋지 않던 시절에 외출 때마다 백자 항아리를 사들여 집안이 난감한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구매를 멈추지 못하셨다고 한다. 그래서 백자 항아리에 홀린 자신의 마음 상태를 밝혀 보려고 무던 애를 썼다. 그저 평범한 둥근 항아리일 뿐인데 그 평범한 형태와 빛깔이 왜 그리 사람을 반하게 하느냐고 자문하면서. 그 매력은 아름다움 때문일 텐데 그 아름다움이 어디에서 오는지 가늠하려고 애쓴 여러 편의 글과 그림들이 남아 있다.

지난주 대학원 학생들과 함께 영국 BBC 방송국이 만든 흥미 있는 영상 프로그램 한 편을 보았다. 뇌과학자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만든 '예술과 인간'이라는 3부작 다큐멘터리 필름이었다. 아름다움을 인지하고 예술을 즐기는 인간의 고양된 미적 감수성에 대한 뇌의 비밀을 밝히는 영상 필름이었다. 미술사에 남겨진 예술 작품들을 매개로 하여 추적해 들어간 편집 구성이 돋보였는데 결론은 예술에 대한 사람들의 심오한 이끌림이 사실은 아주 원초적인 본능적 욕구와 맞닿은 것이라는 것.

그 뇌과학자의 주장이 진실인지 아닌지 나는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조선 백자 항아리의 아름다움이 현대를 사는 우리들의 미감을 완벽하게 만족시키고 기원전 2만 5천 년 전에 조각된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또한 현대인들에게 시공을 뛰어넘는 아름다움에 빠져들게 한다는 사실이다. 그 조각은 가슴과 둔부를 비현실적으로 강조하는, 원시 미술의 특징을 그대로 내보일 뿐만 아니라 팔은 생략되고 아예 얼굴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완벽한 균형미를 지닌 그리스 조각 못지않은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는 사실이 불가해하고 신비스럽다. 10㎝ 남짓한 2만 5천 년 된 돌조각 하나에 사람들은 6천억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물질적 가치 또한 부여하고 있으니 말이다.

예술품에 대한 이런 매혹의 체험은 이집트 벽화, 그리스 조각, 현대 미술 속의 인간 이미지 등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시대별 소장품들 속에서도 수없이 찾아지는 일이다. 그렇다면 예술에 대한 감동과 미의식이 인간의 본능과 연계된 그 무엇이라는 뇌과학자의 주장은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변덕스럽고 계산에 밝은 우리가 어떻게 예술이라는 무형의 미의식에 그토록 지극한 사랑의 마음을 지속적으로 쏟아부을 수 있겠는가.

… 거칠고 단단한 바위 위에/ 행복하게 앉아 있는 나비/ 거친 돌 위에/ 친구 하나 없이 혼자인 나비/ 내 침대 지금 딱딱하더라도/ 나 또한 개의치 않으리/ 나도 이 작은 나비처럼/ 내 기쁨을 만들어 가리/ 나비의 행복한 마음은 바위를/ 꽃으로 만드는 힘이 있으니-W.H.데이비스

고 장영희 교수가 생전에 번역한 시 '연금술'의 전문이다. 문화 행사 많은 10월도 벌써 중순을 넘어서고 있다. 일상에 쫓겨 여유가 없을수록 전시장이나 공연장을 가 보자. 그곳은 친구 없이 혼자 갈수 있는, 아니 혼자이기 때문에 더욱 그윽하고 기쁘게 빛날 수 있는 연금술의 장소와 같다. 좋은 예술 작품을 발견하고 느끼는 마음만 아름답게 스스로 키워 갈 수 있다면 말이다.

백미혜(대구가톨릭대 CU갤러리 관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