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회관을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그동안의 공연, 전시와 관련한 각종 자료를 보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시민회관은 1975년 개관 이후 대구시가 관리하다 2000년부터 대구시시설관리공단이 위탁 관리했다. 이 과정에서 75년 이후 약 20년 동안의 자료는 없어졌고, 이후 자료도 거의 문서 형태로 기록만 남아 있다는 것이다.
시민회관은 1990년 대구문화예술회관이 개관하기 전까지 대구 공연, 전시의 중심축이었다. 한마디로 시민회관의 역사는 곧 대구 문화예술의 역사와 같다. 관례로 보면 시민회관 측은 행사 때의 각종 팸플릿이나 홍보물을 행사 주최 측으로부터 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제대로 정리, 보관하지 못했다. 과거에는 부피가 커 보관이 힘들었다 하더라도 컴퓨터가 보급된 90년대 중반 이후는 관리가 쉬웠다. 그럼에도 각종 기록물이 없는 것은 대구시와 지역 문화예술계의 무관심 탓이다.
각종 기록은 그 시대를 알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관리에 소홀하면 중요한 한 시대의 역사가 사라지고 만다. 실제로 최근 대구 음악계가 박태준'현제명을 재조명하는 작업을 했으나 일부 사진 자료만 조금 남아 있을 뿐이어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제부터라도 대구시와 문화예술계가 힘을 모아 이들 자료를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우선 대구시가 문화예술계에 지원하는 모든 행사에 대해서는 자료 제출을 의무화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각종 자료도 모아야 한다. 이들 개별 역사를 모을 수 있다면 사라진 시민회관 역사의 재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는 대구문화재단과 대구예총이 나서 추진하면 된다. 역사의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야말로 문화예술도시로 가는 지름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