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제역 초동대응 잘못해 사태 키웠다"

한나라당 경북도당 국회서 정부와 긴급 간담회

10여 일째 진행되고 있는 구제역 사태를 놓고 정치권은 초동 대응은 물론 사후 대처까지 철저하게 진행되지 못했다고 질타했다. 정부도 이 같은 지적에 인식을 같이하고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한나라당 경북도당(위원장 이인기)은 9일 국회에서 '구제역 관련 농수산식품부장관 등 정부와 긴급 간담회'를 열고 구제역 초동 대응에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했다. 강석호 한나라당 의원(영양·영덕·봉화·울진)은 "구제역에 걸린 소를 두고 안동에서 처음에는 장염으로 판정했다가 3일이나 지난 뒤에야 구제역으로 발표했다"며 구제역 발병 초기 대응에 문제점을 지적했다.

안동이 지역구인 김광림 한나라당 의원은 초동 대응을 위한 상비 전문가 조직 구성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구제역은 초기 대응을 철저히 진행할 전문가가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며 "특히 군·경이 투입되더라도 보초만 서도록 돼 있어 살처분된 가축을 묻는 사람과 묻을 땅이 없어 곤란을 겪고 있다"고 재차 문제 삼았다.

유정복 농식품부 장관은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경북에서 처음 일어난 일이다 보니까 일부 당황스러웠던 것은 사실"이라며 "구제역 질병 특성상 초기 대응이 가장 중요한 만큼 앞으로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사후 관리에 대한 문제점 지적도 이어졌다. 최근 구제역 방역 초소를 방문했다고 밝힌 장윤석(영주)·정해걸(의성) 의원은 "일부 사람은 소독약으로 인한 차량 부식을 막기 위해 초소를 돌아가거나 빨리 지나 가더라. 고가 차량일수록 차량에 약품을 묻히는 일을 싫어한다"며 경찰의 방역체제 감시 강화를 주문했다. 이상득 의원(포항남·울릉)은 "구제역 발생 전례를 살펴보면 발생부터 소멸까지 평균 한 달 정도 걸린다. 따라서 이제 10여 일 진행된 경북 지역 구제역은 앞으로 적어도 10여 일은 더 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제부터가 더 중요한 시기라고 보고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회의에선 구제역 방역 지원 활동으로 인해 숨진 안동시청 소속 금찬수 씨에 대해 훈·포장 수여와 순직 처리를 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