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달성2차 산업단지·동구 율하2지구, 주목해볼만"

대구 유망 투자처 두곳

여유자금이 있거나 내집 마련을 계획 중인 사람들은 대구의 달성2차산업단지와 율하2지구를 주목해 보는 것이 좋겠다. 달성2차산단은 최근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이 제3 시행자 참여를 통해 적극 추진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선수촌단지가 있는 율하2지구는 단독주택지 완전 분양 열기가 분양 중인 아파트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가산단 박차, 달성산단 용지 등 관심

대구도시공사는 최근 국가산단 조성사업이 제3의 시행자 참여를 통해 적극 추진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가산단에 있는 달성2차산단의 지원시설용지(근린생활시설기능) 및 청아람아파트 등의 분양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국가산단은 2014년 12월까지 총 사업비 2조221억원을 들여 차세대 전자 및 통신, 첨단기계, 미래형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시설 등이 들어서는 미래성장거점이다. 국가산단이 완공되면 달성지역은 성서산단, 달성 1·2차산단, 대구테크노폴리스 등을 묶는 낙동강 신산업 벨트시대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달성2차산단 내 지원시설용지와 청아람임대아파트가 주목 받고 있다. 달성2차산단은 국가산단 내에 있어 입지조건이 좋은데다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토지리턴제 및 선납할인제 등 특별조건으로 공급되고 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계약자가 잔금약정일 내에 토지리턴을 요구하면 계약금 귀속 없이 계약을 해지해주고, 반대로 계약체결 때 잔금까지 완납하면 연 5.5%의 이율로 토지대금을 할인해 준다"고 말했다.

특별판촉 대상 토지는 ▷달성2차산단 내 근린용지 36필지와 물류유통 15필지 ▷성서5차산단 내 공공후생 17필지 ▷죽곡2택지개발지구 내 상업용지 11필지, 단독용지 3필지 ▷죽곡지구 내 업무시설 1필지 등 총 83필지 14만2천477㎡이다.

국가산단 가장 중심에 있는 달성2차청아람은 달성신도시 첫 계획주거지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39㎡(옛 18평형) 178가구, 59㎡(옛 25평형) 395가구, 84㎡(33평형) 655가구 등 총 1천228가구로 구성돼 있다. 전 가구 5년 공공임대이며, 임대조건은 ▷39㎡=보증금 1천277만3천원, 월 임대료 16만3천730원 ▷59㎡=보증금 2천878만1천원, 월 임대료 17만4천30원 ▷84㎡=3천772만4천원, 월 임대료 29만8천680원이다.

임대분양 받은 경우 5년 뒤 분양전환 때 우선권이 제공된다. 현재 선착순 동, 호수 지정 분양 중이며, 누구나 임대를 신청할 수 있다. 법인 명의로도 임대 신청 및 5년 후 우선분양권이 주어진다. 1가구 이상 신청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원주택 및 기숙사로 활용할 수 있다. 문의 053)350-0301~3.

◆선수촌 들어설 율하2지구

LH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율하2지구 잔여 단독주택지(해약분) 2필지를 71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매각했다. 이로써 지구 내 일반매각 토지 319필지를 모두 판매한 것이다. LH 대경본부는 이 같은 분위기가 아파트 분양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율하2지구는 동구 율하동 일원 103만㎡(6천315가구 수용) 규모로, 연접한 율하1지구(31만㎡)를 포함해 대규모 주거 및 상업지역으로서 면모를 갖추고 있다. 또 2012년 준공 예정인 총 422만㎡ 규모의 대구신서혁신도시와 함께 동구의 신도심 축을 이루고 있다.

율하2지구는 지하철1호선 율하역세권에 있으며, 대형마트, 강변체육공원, 선수촌 입주 등 편의성, 쾌적성, 지명도를 고루 갖춘 주거공간이다. 율하2지구 내 아파트는 모두 10개 단지. 이 중 국민임대 4개 단지(3천356가구)는 모두 분양돼 입주한 상태이다.

현재 선수촌 2개 단지를 포함해 총 6개 단지가 분양 중이다. 분양 대상은 총 2천693가구이며, 이 중 1천466가구는 매각됐다. 미분양 1천227가구는 5년 무이자 할부 등 다양한 조건으로 판매되고 있다. 선착순 동·호수 지정으로 분양 중이다. 문의 053)603-2588~9.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