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누가 다녀갔는지, 이른 아침
눈 위에 찍혀 있는
낯선 발자국
길 잘못 든 날짐승 같기도 하고
바람이 지나간 흔적 같기도 한
그 발자국은
뒷마당을 조심조심 가로질러 와
문 앞에서 한참 서성대다
어디론가 문득
사라졌다
2
어머니 떠나가신 뒤, 몇 해 동안
풋감 하나 열지 않는 감나무 위로
처음 보는 얼굴의 하늘이
지나가고 있다
죽음이
삶을 부르듯 낮고
고요하게
-어디 아픈 데는 없는가?
-밥은 굶지 않는가?
-아이들은 잘 크는가?
-----------------------
오늘은 동지 다음 날입니다. 어제 동지팥죽은 잘들 드셨는지요. 구제역의 확산으로 무고한 축생들이 떼로 생매장을 당해야 하는 횡액으로 뒤숭숭한 연말이지만, 역질과 액운을 물리치는 축귀(逐鬼)의 속설이 전해지는 붉은 팥죽의 기운으로 한해 마무리 잘 하시기 바랍니다. 동지는 아세(亞歲)라 하여, 우리말로는 '작은 설'이라고도 했습니다. 밤이 가장 긴 이 날이 바로 '태양의 부활'이 시작되는 날이자 만물이 회생하기 시작하는 새 기운의 날입니다.
시인은 이처럼 죽음과 삶이 교차하며 조응(照應)하는 '동지 다음 날'의 정서를 생활에 밀착한 구체적인 안부인사 어법으로 차분하면서도 울림 깊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아픈 데 없고, 밥 굶지 않고, 아이들 잘 크면, 이 삶은 비록 유한하고 쓸쓸한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살아볼 만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