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은 2008년부터 글쓰기를 진심으로 좋아하고, 전문적으로 글을 쓰고 싶어하는 학생들을 모아 전국에서 처음으로 '문예창작 영재 교육'을 하고 있다.
첫 해에는 학교 급별로 시 창작, 소설 창작 2개 반으로 시작했고 올해부터는 고등학교에 시나리오 창작반을 신설했다. 매년 300명가량의 초·중·고교생들이 시·소설·시나리오 창작 수업을 받았다. 이달 17일 학생들의 작품을 모아 발간한 시, 소설, 시나리오 작품집을 나눠주고 수료식도 가졌다. 이번 글에선 이 학생들이 어떻게 수업을 하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지난 5월 어느 토요일 오후였다. 교정에 벚꽃이 만발해서 바람결에 따라 벚꽃비가 날리고 있었다. 문예창작영재 교육원의 시 창작반 학생들이 벚꽃 나무 아래에서 야외 수업을 했다. 수업을 맡고 있는 시인이 학생들에게 벚꽃을 자세히 관찰하고 나서 시를 쓰라고 한 모양이다. 어떤 학생은 벚꽃이 날리는 모습을 보고 생각에 잠겨있었다. 다른 학생은 날리는 벚꽃을 잡으려고 이리저리 뛰고 있었다.
모두 행복한 얼굴이었다. 만약 학교에서 토요일 오후에 강제로 남겨서 4시간 수업을 더 했다면 학생들의 얼굴 표정은 어땠을까. 하지만 오전에 학교 수업을 마치고 문예창작영재교육원까지 족히 1시간은 걸려서 온 학생들은 불행해보이지 않았다. 열심히 생각하고 관찰한 내용을 적고 있는 그들의 얼굴이 정말 행복해 보였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몰두할 때 행복하다고 한다.
사람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할 때만 몰입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몰입을 해야만 창의적 생각이 나올 수 있다.
지난 10월에는 문예창작영재교육원 학생들이 제24회 달구벌 백일장에 참가했다. 초·중·고교 운문, 산문 부문의 6개 장원 중 5개를 차지했다. 나머지 1개 장원의 주인공도 지난해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았던 학생이었다. 장원 100%를 영재교육원 학생들이 차지한 셈이다. 이뿐만 아니라 장원까지 포함해서 전체 시상자 104명 중 영재교육원 재학생이 64명이나 수상했다.
고등학생 소설 창작을 지도하시는 소설가의 말씀으로는 앞으로 몇 년 있지 않으면 영재원에서 소설 창작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매년 1, 2명씩 문단에 등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이들이 앞으로 대구 문단 지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문단의 지도를 바꿀 것이라고 했다.
소설가는 한 학생을 가리키며 "저 학생은 지금도 기성문인의 수준보다 낫다. 저런 학생은 학교수업이 오히려 창작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문제풀이, 강의식 수업이 학생이 지닌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빌 게이츠가 하버드 대학을 뛰쳐나온 이유를 짐작할 것 같았다. 사람은 누구나 두 가지 이상의 잠재력을 갖고 태어난다고 한다. 이런 잠재력을 꽃피우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정말 배우고 싶은 것을 가르쳐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한원경(대구시교육청 교육과정운영과 장학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