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젊은이가 떠나는 대구, 미래 대책 세워야

대구의 젊은이들이 도시를 빠져나가고 있다. 최근 대구시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20대 인구는 2006년 38만 3천700여 명에서 지난해 34만 1천300여 명으로 11%가 줄었고 30대 인구는 같은 기간에 43만 4천600여 명에서 39만 5천400여 명으로 9%가 감소했다. 특히 30대는 2000~2005년 사이 5년간 2만 4천900여 명이 대구를 빠져나간 데 비해 2006~2010년 사이 4년 동안에는 3만 9천100여 명으로 유출 인구가 급증, 도시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젊은 층의 대구 이탈 양상은 다양하고 심각하게 빚어지고 있다. 지역 대학생들은 취업을 위한 경력을 쌓기 위해 서울로 가고 있고 30대 직장인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연봉이 높은 대구의 직장을 그만두고 서울의 업체로 이직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지역 의대생들의 외면으로 지역 대학병원들의 인턴 미달 사태가 잇따르는가 하면 변호사들도 사건 수요가 적은 대구를 기피, 40대 이하 변호사 수가 15% 수준에 그치고 있다.

대구의 젊은이들이 떠나는 것은 좋은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다. 성장 산업 동력을 갖추지 못해 쇠락해 가는 대구에서 젊은 층의 이탈은 성장 동력 기반마저 약화시키는 것으로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젊은이가 빠져나간 농촌이 몰락하듯 청년층이 빠져나가는 도시는 미래가 어두울 수밖에 없다. 장기적인 경제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가 미래를 기약하기 위해서는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는 데 힘써야 한다.

대구시는 이를 위해 대기업 유치에 주력하고 있는 데서 벗어나 지역 기업의 지원과 육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 첨단 산업 육성도 좋지만 생산과 제조 업체가 많은 대구의 현실을 고려, 가능성 있는 지역 기업들을 많이 키워야 한다. 괜찮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젊은이들이 자리 잡게 해야 성장 동력의 한 축인 인적 자원도 확보할 수 있다.

이 같은 대책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현 정부 들어 거시적 차원의 성장이 있었다고 하나 수도권 중심의 성장이 심화되고 있는 점에서 지방 대도시의 청년층 유출에 대한 정부의 책임이 적지 않다 할 것이다. 정부는 지방 발전을 위한 '5+2 광역 경제권' 정책이 가시적 성과를 보이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지역 인재 할당제' 시행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