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들어 3년 동안 우리 사회에는 일일이 꼽기 힘들 정도로 큰 일이 많았다. 백운현(55)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개인적으로 그랬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직후인 2008년 3월 행정안전부 지방행정국장에 임명됐다가 두 달 뒤 행정안전부 기조실장(1급)으로 승진했다. 이어 2009년 1월 행안부 차관보, 그해 10월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 2010년 9월 소청심사위원회 상임위원을 잇따라 맡은 뒤 지난달 16일 차관급인 권익위 부위원장에 내정됐다. 3년 사이에 6번이나 승진과 영전을 거듭한 것이다.
2일 오후,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권익위 부위원장 임명장을 받고 돌아오는 길에 만난 그는 "'참되게 생각하고 성실하게 행동하라'는 좌우명 대로 열심히 일했을 뿐"이라며 겸손해 했다.
현 정부 들어 국민고충처리위원회·국가청렴위원회·행정심판위원회 등 3개 기관을 통합한 권익위에는 3명의 부위원장이 있다. 백 부위원장은 국가청렴도 향상 등 '부패 방지' 분야를 맡고 있다.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는 178개국 가운데 39위에 그쳤습니다. 세계 일류 선진국가로 가기위해선 부패 구조 개선이 최우선 과제인 것이지요. 한 나라의 국부(國富)는 5%의 자연자본, 10%의 기업 생산자본과 85%의 사회적 자본으로 이뤄진다고 하지않습니까? 경제대국 위상에 걸맞지 않은 청렴도를 끌어올려야 세계의 존경을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권익위는 이와 관련, 올해부터 '고위공직자 개인 청렴도 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조만간 청렴도 평가 모형 개발을 마치고 각 기관에 제공하는 한편 고위 공직자의 임명·전보 단계에서부터 청렴서약을 의무화해 '윗물부터 맑아지기'를 생활화 할 방침이다. 이는 매년 700여 개 공공기관을 조사해 발표하는 '기관 청렴도 측정'과는 별개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공직사회에 더 직접적인 부패 통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시민들 사이에도 고위공직자나 공기업 임원들이 주어진 힘을 청탁·알선 등에 부당하게 쓴다는 인식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관행이 제도 개선만으로 고치기 어려워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더욱 필요합니다."
백 부위원장은 성주가 고향이다. 성주초교·성주중·대구고와 영남대 경영학과를 나온 TK 출신이지만 PK 인사로 분류되기도 한다. 1978년 행정고시 21회에 합격한 뒤 부산시 공보관·행정관리국장·기획관리실장을 지내는 등 2007년 말 행안부 주민서비스혁신추진단 부단장을 맡을 때까지 30년 가까이 부산에서 공직 생활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대구 사투리를 버리지 못했다. "어떻게 하다 보니 고향에서 한번도 근무를 못했습니다. 그래도 저희 집 아이들은 절 따라 대구 말을 씁니다. 허허. 피는 속일 수 없는 법인가 봅니다."
그래서인지 대구와 부산의 차이에 대한 설명도 명쾌했다. "대구의 강점은 뭐니뭐니 해도 인적 자원의 우수성이라 봅니다. 또 지역 원로들이 중심이 돼 시민사회를 결집하는 모습도 좋습니다. 반면 부산은 관문도시인 덕분에 개방·포용성이 풍부하고 한번 에너지가 결집되면 무서울 정도로 역동적입니다. 두 도시가 서로의 장점을 조금씩 나눠가지면 좋을 텐데..."
원칙을 중시하고 일 처리가 합리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그는 동남권 신공항을 두고 벌어지고 있는 대구와 부산 간의 갈등에 대해서는 "몹시 안타깝다"고 했다. "두 지역간에 공항을 바라보는 시각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내륙도시인 대구에 신공항과 낙동강운하 등 하늘길·뱃길이 열리면 금상첨화이겠지요. 하지만 결정은 정치논리가 아닌 순수한 경제·기술논리로 이뤄져야 합니다. 그래야 앙금이 남지않겠지요."
강병규 지방세연구원장·김재수 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권영세 안동시장 등이 행시 동기이고, 한나라당 이명규 국회의원·대구시 김연수 행정부시장이 고교 동기인 그는 테니스 실력이 선수급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