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바람될까' 대구경제 사령탑들 외지인 줄입성

최고 전문성 확보엔 공감…지역 현안 이해부족 걱정

대구경북 경제 기관장 자리에 '외지인' 전문가 입성이 잇따르면서 지역 경제계의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외지인 기관장들의 지역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걱정하는 분위기 속에 그 분야 최고전문가라는 이점에 힘을 실어준다면 대구경북 경제 재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외지인 경제기관장 전성시대

23일 대구EXCO는 주주총회를 통해 제7대 대표이사(임기 3년)로 박종만(61) 전 코엑스 전무이사를 선임했다. 박 신임 사장은 지연 연고가 전혀 없다. 충남 서천 태생으로 서울 강남구에 현주소를 두고 있으며, 경복고등학교와 성균관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이달 초 심층 면접 당시 지역을 잘 몰라 우려스럽다는 얘기가 나왔다.

하지만 박 신임 사장은 국내 컨벤션 분야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임원 7년, 코엑스 전무 4년을 거쳐 지난해 G20 정상회의 개최준비총괄지원단장을 역임했다.

앞서 지난달 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사령탑에 각각 취임한 김유승(61) 이사장과 신성철(58) 원장은 서울 경기고 선후배 사이. 역시 지역 연고가 전혀 없다.

서울 출신의 김 이사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 연구소로 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원장(2003~2006년)을 역임했다. 이사장 취임에 앞서 500만 국내 과학기술인들을 회원으로 거느리고 있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부회장(공학부문'임기 2011~2014년)에 올랐다.

대전 태생의 신 원장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아이디어를 냈고, 지난 대선 당시 대통령 후보들에게 한국 과학기술 정책을 제안했다. 지난해 10월에는 한국물리학회장에 취임했다.

◆우려 또는 기대

외지인 경제 기관장들이 속속 취임하면서 지역경제계에서는 벌써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연고가 없는 기관장들은 아무리 그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이라 하더라도 제 역할을 해내기가 어렵다는 분위기다. 대구경북 정서에 적응하지 못해 소신껏 일하지 못하거나 그저 임기 채우기에 급급할 수 있다는 것. 공모를 통해 객관적 검증 잣대를 통과했지만 지역 사회에 대한 몰이해가 문제라는 시각이다.

그러나 잇단 외지 전문가 입성은 대구경북 경제계가 지역 연고주의를 극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지역경제 특유의 배타성은 개방과 혁신, 인재유입, 세계화를 가로막아 대구경북이 21세기 새로운 시대로 나가는 데 발목을 잡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좁은 지역주의의 울타리를 벗어나 적극적인 자세로 상대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새로운 의식변화가 외지인 경제 기관장들에게 힘을 싣고 대구경북 경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