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과학벨트 입지, 인프라 갖춘 지역으로

상반기 중 입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놓고 영남권과 충청권의 막판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충청권은 지난 2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사수'를 위한 결의대회를 국회 본청에서 개최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구경북연구원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구경북이 최적의 지역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이미 동해안에 방사광가속기와 양성자가속기가 있는 경북 지역에 과학벨트의 핵심 연구 기반인 중이온가속기가 건립되면 정부의 과학벨트 조성 원안을 능가하는 기초과학 연구벨트의 효율적 조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부의 과학벨트 입지 심사는 이 같은 객관적 조건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투자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곳이 어디냐를 가장 먼저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지역의 과학기술 인프라를 들어 과학벨트가 반드시 대구경북에 와야 한다고 고집하지 않는다. 다른 지역이 더 나은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여타 객관적 조건이 우수하다면 그 지역으로 가야 한다. 다만 그 전제 조건은 투자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고 한국의 과학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역이 어딘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이다.

충청권은 대통령 공약 사항임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렇지 않다. 과학벨트는 세종시 수정안의 국회 통과를 전제로 한 것이다. 그러나 수정안은 무산됐다. 공약 운운할 근거가 없어진 것이다. 공약이 아니라 어느 지역이 더 우수한 여건을 갖췄는지를 놓고 경쟁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