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해공항 확장論 정부도 두차례 '不可'

부발연도 "안된다" 결론

정부와 여권 고위 관계자들이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를 들먹이며 대안으로 '김해공항 확장' 을 검토하고 있지만 김해공항 확장은 두 차례의 정부조사에서 불가능하다고 결론난 것이다. 이처럼 사실상 불가능한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검토에 대해 경남, 울산 등 4개 시'도는 결국 동남권 신공항을 아예 포기하려는 기도라고 반발하고 있다.

조해진 한나라당(밀양) 국회의원은 28일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국토해양부가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한 김해공항 안전성 확보방안 연구 용역(2002)과 국토연구원에 의뢰한 제2관문공항 건설여건 검토 용역(2007) 때 사업비용, 환경문제, 소음문제, 대형 항공기 이착륙 곤란 등의 이유로 이미 부정적으로 결론난 바 있다"고 말했다.

신공항 가덕도 유치를 추진해온 한나라당 이진복(부산 동래) 의원도 "김해공항 확장이 쉽지 않아 동남권 신공항을 추진한 것인데 다시 김해로 가는 건 말이 안 된다"며 "국가 백년대계를 보고 신공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범일 대구시장과 허남식 부산시장도 28일 "김해공항 확장은 이미 정부가 두 차례 검토한 끝에 폐기한 것으로 현재 김해공항이 가진 안전문제와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아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산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에서도 김해공항 확장은 힘들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난다. 동남권 신공항을 대체해 김해공항을 확장하면 소음권역이 현재보다 광범위한 형태로 확대되고 대형 항공기 이착륙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활주로 건설이 불가능하다고 결론내고 있다.

한국항공정책연구소, 대구경북발전연구원, 부산발전연구원 등 조사에 따르면 김해 군사공항의 현재 활주로(3천m, 3천200m)는 군용과 민간용 2개 이지만 대형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4천m 길이의 활주로를 만들 경우 최소 1km에 이르는 직선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 경우 김해공항 주변 도시가 팽창한 상태에서 확장이 불가능하고 K1 군사공항 이전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기지 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활주로 공간확보(길이 1km)시 기존 남해고속도로의 지하화나 선형을 변경해야 하고 신어산(650m), 금동산(410m), 돗대산(380m) 등 주변 산의 대규모 절취가 불가피하다. 특히 1km 확장시 항공기 5개 진입표면 중 대부분 공역확보가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김해공항을 확장할 경우 군사공항 K1 이전과 소음공해에 따른 민원이 심각해진다. 더욱이 2002년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가 발생해 안전성에서 김해공항은 치명적 결함을 안고 있다. 또 확장 공사비가 5조원 단위에 이르지만 확장 용량은 15%에 불과하다.

경일대 도시문제연구소 김재석 교수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려면 공간확보 등 물리적인 측면에서도 불가능하지만 공사비용에 대한 투자비용의 효율성이 극히 낮고, 대형 항공기 이착륙이 원천적으로 안 된다"고 밝혔다.

이춘수기자 이상준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