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울지역 언론들 '신공항 백지화' 여론몰이 의도가 뭔가

①정부 의도적 출구전략 ②수도권론자 위기의식…한나라 텃밭이라 'TK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서울지역 언론들이 익명의 정부 고위관계자 발언을 인용하며 신공항 백지화와 김해공항 확장안을 기정사실화하는 내용의 보도를 쏟아내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 지역 언론들이 신공항 입지 평가가 끝나지도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보도를 내는 저의는 무엇일까?

가능성은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정부가 의도적으로 무용론을 흘렸다'면 발표 후 불어닥칠 후폭풍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그 중 하나다. 결사반대를 다짐하고 있는 영남권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극렬한 반발을 예상한 '예방주사'라는 것이다. 자칫하면 여권의 텃밭이라고 할 수 있는 PK'TK 등 영남권의 지지를 모두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라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이 대통령은 최근 "국책사업에서 정치논리를 배제해야 한다. 경제성을 잣대로 삼아야 한다"는 발언을 잇따라 해왔고 여권 내 핵심인사들도 '신공항 출구전략'을 부쩍 자주 입에 올렸다. 대통령의 발언과 정부 관계자의 '애드벌룬'이 맥을 같이한다는 것이다.

입지 평가 중인데도 정부가 이 같은 무용론을 흘린 것은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라는 의중을 평가위원과 평가단에 보인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박창호 입지평가위원장이 25일 밀양 실사에 앞서 "1천300만 명이 거주하는 동남권에 허브공항이 필요하다"고 밝히는 등 '평가위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의 결과로 밀양 또는 가덕도로 결론이 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을 가진 수도권론자들이 서둘러 '백지화'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정치적인 해석도 덧붙여진다.

정부의 다급함에는 총선과 대선을 위한 복잡한 정치적 속셈도 깊이 숨어 있다. 밀양과 가덕도 모두 안 되는 것으로 결론이 나면 두 곳 모두 상당한 반발이 예상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강도가 약해질 것이라는 허튼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두 곳 모두 안 된다면 부산 쪽 반발의 강도가 대구경북보다는 적을 것이라는 정치적 판단을 하고 있는 듯하다.

이미 불가능하다고 결론난 김해공항 확장안을 들고 나오는 것은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는 대구경북은 가만히 놔둬도 어차피 '한나라당 표밭'이라는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여권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설명이다. '잡은 물고기에 떡밥을 주지 않는다'는 논리인 셈이다. 대구경북 유권자들로서는 자존심 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