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경북도의 귀농․귀촌자 수를 전국 4,067가구 9,732명 중 27.3%를 차지하는 1,112가구 2,538명으로 전국 최고인 것으로 밝혔다.
이는 2009년도 1,118가구(전국의 27.4%)로 2년 연속 전국 최고의 수준에 달하여 경북지역이 귀농 최적지임이 입증됐다.
귀농․귀촌의 연령별 50대 438명(39.4%), 40대 334명(30.0%), 60대 169명(15.2%), 30대 140명(12.6%), 30대미만 70대이상은 31명(2.8 %)로 나타나, 농촌과 도시를 경험한 40~50대가 도시에서의 경쟁적인 삶에서 벗어나 다소 여유로운 농촌에서 자신의 삶 찾으려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북도내 시군별 귀농 귀촌자수는 상주가 162가구, 봉화 137가구, 청송 96가구, 안동 94가구, 영주 80가구로 주로 경북 북부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농 후 농업 주 종사분야는 생산기술이 복잡하지 않으며 초기 자본이 적게 들고 실패확률이 낮은 벼 등 경종분야가 41.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과수(35.5%), 원예(6.7%), 축산(4.5%)등, 귀농 전 직업은 자영업이 374명(33.6%), 사무직 220명(19.8%), 생산직 141명(12.7%), 건설․건축 70명(6.3%) 등으로 나타났다.
귀농의 선호도가 높은 봉화, 청송, 안동, 영주 등은 경북 북부권 지역은 비교적 타 지역에 비해 저렴한 지가와 청정한 자연환경, 과수, 축산 등 고소득 농산물 재배가 용이한 것이 주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김종수 경북도 농업정책과장은 "예전의 귀농은 도시생활의 부적응과 경제적인 이유로 농촌으로 들어오는 유형이 많았으나, 이제는 귀농자들의 철저한 준비와 뚜렷한 목표의식를 가지고 귀농하는 자가 대부분으로 현 시점이 귀농정책의 전환기로 새로운 시책 발굴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귀 농인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농업․농촌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미래농업 인력확보가 될 수 있도록 귀농 준비단계부터 지원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전국적으로 71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55년~63년생들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어 제2의 삶을 농촌에서 여유 있게 노후를 준비하겠다는 베이비 부머(baby boomer)들이 다소 귀농․귀촌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귀농관련 법률과 도 시․군의 조례제정을 통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던 중앙정부, 도 및 시․군의 다양한 귀농정책사업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뉴미디어국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