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융·경제지주회사 설립… '신뢰받는 농협' 재탄생

농협, 사업구조 개편

제10회 대한민국e금융상을 수상한 농협.
제10회 대한민국e금융상을 수상한 농협.

지난 3월 농협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농협은 사업구조 개편이라는 격랑의 시대를 맞고 있다.

농협중앙회의 사업을 분리해 그 아래에 금융지주와 경제지주를 설립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조합원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팔아주는 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제지주에는 3조~4조원대의 자본금을 공급한다. 경제지주에 거액의 돈이 투입될 수 있는 여력이 생긴 데는 전문 금융지주가 탄생하면서 그 수익을 서로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농협은 농민을 위한 전문 금융 상품도 출시하는 등 시중 금융사들과 차별화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국내 금융 시장의 변화

농협이 금융지주를 설립할 수 있게 되면서 자산 200조원대에 달하는 농협(NH)금융지주회사 설립에 착수했다. NH금융은 NH은행을 비롯해 NH생명손해보험, NH투자증권 등을 계열사로 두게 된다. NH카드의 경우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별도의 자회사로 독립시켜 지주사로 편입할 가능성이 높다.

주력 계열사가 될 NH은행의 총 자산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193조원으로 국민은행(275조원), 우리은행(247조원), 신한은행(238조원)에 이어 '빅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4위권인 하나은행의 154조원보다 월등히 앞선 수준이다.

NH은행은 시중은행들과 비교해 생산성과 수익성, 전문성 등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사업 다각화 제약 등으로 경쟁력은 오히려 약화되는 실정이다. NH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5천662억원으로 지난 2006년의 1조943억원에 비해 반 토막 났다.

이런 상황에서 NH금융과 금융지주사라는 조직형태를 만든 뒤 금융전문가 영입 등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할 경우 장기적으로 현 은행권의 판도를 변화시킬 강력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보험업의 경우 설립과 동시에 자산 31조원의 전국적인 영업망을 갖춘 생명보험사가 탄생하게 돼 국내 보험업의 새로운 경쟁 구도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농협 금융지주 탄생이 갖는 의미

금융지주회사의 수익은 국외로 유출되지 않고 국내에 투자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의미다. 현재 국내 대형 금융지주회사(국민, 신한, 하나 등) 대부분의 외국인 지분율이 많게는 80%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토종 금융 브랜드에 거는 기대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국내 유일하게 농촌을 상대로 하는 농협이 국가가 주도하는 농민 정책에 어떻게 부합해 나갈지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은 각종 특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창구에서 증권, 카드, 생보'손보 등 다양한 금융업무를 한꺼번에 처리하게 하는 한편 농촌의 보험'증권 연계 복합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랩어카운트, 금융자산컨설팅 등 증권 부문과의 연계 영업으로 고객의 이용 편리성도 제고한다.

▲농협의 각오

순수 국내자본으로 구성된 토종은행인 농협은 그 수익을 농업'농촌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경제사업자금, 지자체 협약 대출, 각종 공익기금 등을 통한 농업'농촌 벌전에 기여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고 앞으로도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금융지주회사 출범으로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중앙회에 대한 이익환원 금액이 늘어나 농업인 지원 역량이 강화된다. 농촌 교육지원사업비가 최근 5년간 4천310억 원에서 개편 후 5천억 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되는 것도 이익환원에 대한 재분배 때문이다.

농'축협 상호금융이 지역 대표 금융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뒤에서 돕는 역할도 농협의 몫이다. 농업인에 대한 정책자금대출, 농작물재해보험 등 기존에 수행하던 공익적 역할을 증대하는 한편 펀드'증권 연계상품 판매, 외국환 업무 확대 등 취급업무 다양화를 통한 금융편익도 제고한다.

또 농'축협이 지역종합센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각 지역의 문화'복지'농촌 관광사업 등을 주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농촌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유도해 농업인의 실질적인 복지수준을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박상전기자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