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 왜관읍 미군부대 캠프 캐럴 내 고엽제 매립의혹과 관련, 경상북도가 캠프 캐럴 주변지역 지하수 3곳에 대한 수질분석을 환경부, 칠곡군과 협의 없이 단독으로 진행하면서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규정에 막혀 공식적인 분석 결과도 밝히지 못한 채 주민 불안만 불러일으키는 등 큰 혼선을 빚고 있다.
SOFA 환경정보공유 및 접근 절차에 따르면 '주한미군시설 구역과 그 주변의 한국 영역 사이의 경계 어느 한쪽에서 오염을 일으키는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언론에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보도자료 배포 전에 SOFA 환경분과위원회 한미 양측위원장의 승인을 받도록' 돼 있다.
그러나 경북도는 이 같은 SOFA 규정을 간과한 채 이달 22일 캠프 캐럴 인근인 왜관읍 석전리 등 지하수 3곳에 대한 시료를 채취해 포스텍 장윤석 교수팀(환경공학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하고 26일 공식적인 분석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경북도는 26일 장 교수팀으로부터 분석결과를 통보받고는 뒤늦게 SOFA 규정을 이유로 들어 "지하수 수질에 대한 정확한 수치 등 검사결과를 밝히기 어렵다. SOFA 환경분과위원회에 제출해 국무총리실 산하 국가대응 T/F와 협의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발을 뺐다.
특히 이 과정에서 경북도 관계자는 "다이옥신 검출 여부를 통보받지 못했다"고 부인하는가 하면 다른 관계자들은 "전화통보를 받았지만 발표할 수 없다" "환경부의 공식적인 정밀검사가 나오면 장 교수팀의 검사 결과를 동시에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그러는 사이 장 교수팀은 다음날인 27일 언론을 통해 "캠프 캐럴의 인근 지하수 3곳에 대한 시료를 채취해 정밀검사한 결과 1곳에서 음용수 기준으로 분석감도를 최대한 높여 분석했을 때 극미량의 다이옥신 흔적이 보였다"는 내용을 밝혔다.
장 교수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1주일 전 경북도로부터 검사를 의뢰받은 뒤 그 결과를 경북도에 전화로 통보했다. 특히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동조사 이후 분석결과를 발표하자는 경북도의 제안을 거절했다"는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한미 공동조사단은 빠르면 다음 달 2일부터 '지표투과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를 이용해 고엽제 매립지 확인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캠프 캐럴 내 조사 대상지는 최소 2곳, 많게는 5곳이 거론되고 있다. 1978년 화학물질이 보관됐던 것으로 미군 측이 파악한 '41구역'과, 화학물질 드럼통을 매몰했다 1979~1980년에 다시 파냈다는 헬기장 주변 'D구역'이 조사대상에 포함된다. 또 퇴역한 주한미군이 "고엽제 드럼통 250개를 묻었다"고 주장한 헬기장을 비롯해 캠프 캐럴 독신장교숙소(BOQ), 소방서 등 최근 독성물질 매립 의혹이 제기된 또 다른 두 곳도 조사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다.
한미 양측은 다음 달 1일 SOFA 환경분과위원회에서 캠프 캐럴 내부 조사를 어떤 방식으로 수행할지 협의할 예정이다. 국가마다 환경영향분석, 시료채취 등 조사 방법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를 조율하기 위한 것이다.
한미 양측은 27일 캠프 캐럴 주변 4곳에서 채취한 지하수 분석 결과가 조만간 나올 예정인 가운데 30일 캠프 캐럴 밖 5곳에서 추가로 지하수를 더 채취해 조사하고, 다음달 3일까지 기지 반경 2㎞ 안에 있는 100여 개 지하수 관정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칠곡'김성우기자 swki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