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을 모르는 물가에 금융당국이 결국 금리 인상 카드를 빼들었다. 미국 경제 침체와 그리스 악재 등 불안 요인에도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가 뒤늦게 금리 인상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금리 인상 효과에 대해서도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10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개월만에 기준금리를 3.25%로 0.25% 포인트 올렸다. 하반기 전기요금을 시작으로 공공서비스 요금이 줄줄이 인상될 전망이어서 선제 조치가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올 3월 4.7%를 정점으로 4월 4.2%, 5월 4.1% 등 4%대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3.0% ± 1%를 약간 넘어선 것으로 금리 인상 카드가 나온 배경으로 풀이된다.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는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상승폭이 6.2%로 3월의 7.3%와 4월의 6.8%보다 떨어졌지만 올 들어 5개월째 6%를 웃돌고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시기가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11개월만에 하락하는 등 물가가 이미 정점을 지나 금리 인상 효과가 의문시된다는 것이다. 한 금융기관 관계자는 "올리려면 지난 달이 적기였던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 어떤 효과를 불러올지 사뭇 궁금해진다"고 말했다.
가계 부채에 허덕이는 서민들의 어깨가 더 무거워져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지난해 말 가계의 금융부채는 937조3천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8.9% 늘었다. 대출금리가 1년 새 기준금리 인상폭인 1.25% 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11조7천억원가량 늘어나게 된다. 이자 증가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 결국 경기 둔화로 이어져 부정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