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공공조형물 무관심 방치

주민에 쓰레기·형태훼손…세계육상 손님맞이 창피

대구의 이미지를 알리는 각종 공공조형물들이 무관심 속에 방치되거나 주변 경관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

시민들은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코앞에 앞두고 대구의 인상을 좌우할 대형 조형물이 오히려 대구의 이미지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시내 공공시설물과 대형 건축물 앞에 설치된 조각상이나 상징물 등 조형물은 모두 72곳에 이른다. 이 가운데 취재진이 대구국제공항과 주요 관문도로, 대구EXCO 주변 등에 설치된 공공조형물 24곳을 둘러본 결과, 6곳이 훼손됐거나 주변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있었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열리는 대구스타디움 주변 조형물 8곳 중 3곳은 주변에 쓰레기가 널브러져 있었고, 대구 도심으로 들어오는 관문 교량인 수성교와 동대구IC 인근, 안경특화거리 입구 등에 설치된 조형물도 주변 관리가 엉망이었다.

또 수직파이프를 이용해 대구 시목인 전나무를 형상화한 수성교의'신천의 기적'이나 팔공산과 대구섬유를 상징한 아양교 '그린게이트', 태양빛을 의미한다는 북구 산격동 유통단지 '세계로! 미래로!' 등 11곳은 안내판이 없어 시민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주변 경관과 조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택시기사 김경제(60·수성구 중동) 씨는 "타지역 사람들이나 외국인 방문객 중 공항이나 주요 관문도로에 설치된 공공조형물을 보고 의미를 이해하거나 신기해하며 관심을 가지는 손님은 한 번도 본적이 없다"며 "섬유 일색의 획일화된 조형물보다 대구의 특징을 더 잘 보여줘야 하고, 안내판도 잘 보이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리 책임을 지고 있는 각 구·군은 담당 부서와 조형물 관리예산도 없다. 대구시내 모 구청 관계자는 "관리 주체도 모호하고 딱히 관리를 해야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털어놨다.

전문가들은 공공조형물은'양 보다는 질이 우선'으로 공공 조형물을 남발하기보다는 대구를 상징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조형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필요하다면 세계적인 작가를 초청해서라도 대구의 명물이 되도록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홍순상 경북대 교수(시각디자인학과)는 "작품의 질 자체가 떨어지는 조형물이 상당수다. 식상하지 않으면서도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조형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보다 개방적이면서도 엄정한 심사 잣대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성현·백경열·황희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