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물갈이 안하면 내년 대선에서 45대 55로 진다.'
원희룡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김부겸 민주당 의원은 6일 새 지도부를 꾸린 한나라당이 변화된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필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에서 각각 차차기 대권후보로 거론되는 이들은 이날 오후 매일신문사에서 열린 매일신문 정치아카데미 제8 강의 초청 강사로 나와 이 같이 말했다. 두 사람이 여야로 입장이 다르긴 했지만 진단과 처방은 비슷했다. 특히 원 최고위원은 정권재창출을 위해 '박근혜 대세론'에 안주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무상급식 등 복지정책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원 최고위원이 '반값 등록금, 무상복지는 선동에 불과하다'고 평가 절하한 반면 김 의원은 무상급식'반값 등록금에 이어 무상보육, 무상의료 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원희룡='물갈이 없으면 45대 55로 민주당에 열세'
원 최고위원은 "(한나라당에 대한) 민심은 바닥이 아니라 험악한 수준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수도권은 물론, 대구경북조차 '두고보자'고 벼르고 있다. 내가 이 정도로 알 것 같으면 현장에서는 더하지 않겠느냐. 이 같은 국민들의 교체 요구를 감안했을 때 대폭적으로 물갈이를 하지 않으면 내년 총선과 대선 모두 어렵다"고 강조했다. 특히 "내년 대선 때는 100% 야권 단일후보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대세론을 등에 업고 있으나 유신 피해자와 서민,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는 대선에서 45대 55로 한나라당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만약 총선 때 현역의원들이 기득권을 지키려다가는 한나라당 등 여권이 원내 과반수 150석을 채울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야권은 BBK와 정수장학회 특검을 들고 나오고 한나라당의 대선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올가을부터 현역 국회의원들의 자발적인 불출마 선언이 도미노처럼 일어나야 한다고 했다.
내년 양대 선거의 최대 핫이슈로 떠오른 복지정책에 관련해서는 유승민 최고위원의 말을 빌어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진정한 복지와 배려는 겸비해야 한다"면서도 "(복지는) 국민과 우리 사회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 한정되야 한다. 성장과 분배를 조화시키지 않은 유럽형으로 가서는 우리나라의 시동이 금세 꺼질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야당에서 내세우고 있는 반값 등록금과 (전면) 무상급식은 구호이며 선동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심각해지고 있는 수도권 비대화 등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현 정부와는 차원이 다른 '개혁' 수준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원 최고위원은 동남권 신공항이 이 지역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혀 참석자들의 뜨거운 박수를 받기도 했다. 그는 "서울 등 수도권의 팽창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서쪽으로 당진, 아산까지 남쪽으로는 추풍령까지 수도권화되고 있다. 반면 과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엔진이었던 추풍령 이남은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동남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공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부겸='진보'보수 대결보다 지역주의 극복'
김부겸 의원은 "정치권에서 진보'보수 논쟁이 격렬하게 벌어지고 있지만 지역주의를 극복하지 않고는 발전은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특히 대구를 예로 들며 "대구가 GRDP(지역내 총생산)부분에서 17년째 골찌다. 이는 결국 특정지역에서 특정 정당이 독식한 참혹한 결과다. 경쟁이 없으면 부패가 싹튼다. 독점의 폐해는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 더 잘 알지 않느냐"며 지역주의에 따른 특정 정당 독식 구조의 폐해를 지적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 구성된 한나라당 지도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강조했다. 지역주의를 깨기 위해서 비례대표를 권역별로 나눠준다든지, 석패율 등을 도입해야 하고 한나라당의 새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특히 김 의원은 내년 총선과 대선과 관련,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의 양자 대결 구도가 바람직하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은 "우리 정치 현실이 다당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양당제로 가야 한다. 일대일 대결구도로 가야 한쪽이 일방적으로 국정을 농단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은 자유선진당과 합쳐야 하고 민주당은 민노당과 진보신당 등과의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방적인 승리와 패배는 없고 51대 49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복지정책과 관련해서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들고나온 '한국형 복지'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주장한 복지정책과 닮았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어 "무상급식을 퍼주기라고 해서는 안되며 앞으로 무상보육, 무상의료 등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이 동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복지정책을 위한 재원마련 방안과 남북문제 등을 두고 한나라당과 일전을 준비하고 있다며 민주당에 대한 관심을 호소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