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협상이 또 결렬됐다.
3일 낙농농가들이 사상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우유공급을 일시 중단한 가운데 낙농농가와 우유업체 대표들이 이날 오후 원유(原乳) 가격 인상폭에 대한 협의를 계속했으나 합의에는 실패했다.
업계 관계자는 "낙농농가와 우유업체 대표 각 3명씩과 농식품부 관계자 1명은 이날 오후 2시 양재동 낙농진흥회 사무실에서 원유가격조정 소위원회 8차회의를 열고 5시간 동안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전했다.
회의에서 낙농농가들은 최근 3년간 사료값 및 조사료값 인상, 구제역 여파에 따른 원유 생산량 감소 등을 이유로 현재 ℓ당 704원인 원유가를 173원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우유업체는 81원 인상안에서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아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양측은 이날 오후 6시30분께부터 저녁식사를 위해 정회를 했으나 마침 한 인터넷 매체가 '낙농농가에서 종전 173원에서 150원까지, 우유업체는 81원에서 100원까지 양보할 뜻을 보였다'고 보도한 사실이 알려지자 낙농농가 대표들이 갑자기 회의장을 박차고 퇴장, 협상은 아무런 성과없이 끝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협상 일정조차 잡지 못한 채 회의가 중단됐지만 협상시한이 오는 5일인 만큼 5일까지 협상을 타결짓도록 적극 절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낙농농가들은 3일 하루 동안 우유공급을 한시적으로 중단한 데 이어 5일까지 원유가격 인상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전국적으로 무기한 우유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사상 초유의 '우유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