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최근 국방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청와대 수석과 장'차관급 자녀의 40%가 안전하고 편안한 보직에서 병역을 이행했거나 복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고위층의 자제들은 집과 멀지 않은 수도권 부대에서 근무하거나 행정, 보급, 산업특례 등 이른바 '꽃보직'을 받았다. 청와대 수석의 병역 대상 자녀 11명 중 9명이, 장'차관급 자녀 37명 중 15명이 이에 해당됐다.
이는 일반 국민들의 자녀가 군에서 좋은 보직을 받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높은 비율로 고위층 인사들이 자녀들의 군 보직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짐작게 한다. 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고위층 인사들이 군 면제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자녀들의 군 보직 문제까지 불거져 국민들의 시선이 고울 리 없다. 더구나 이 같은 문제가 김영삼 정부 때부터 있어왔다고 하니 가벼이 넘길 사안이 아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고위층 자제들의 병역 특혜를 막기 위해 대통령이 각별히 관심을 쏟은 적도 있었다. 이번 자료에서도 소수의 고위층 인사들이 자녀를 해병대에 자원입대하도록 하는 등 군 보직 혜택을 경계한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솔선수범이 당연한데도 되레 빛나 보일 정도로 고위층 자제들의 병역 보직 문제는 고질화되고 있다.
징병제 국가에서 병역의 공정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병역의 공정성이 무너지면 군 사기 저하 등으로 인해 국방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위층 자제들의 병역 보직 문제를 철저히 조사해 문제가 드러난 인사들은 엄중히 문책해야 한다. 행정부뿐만 아니라 입법부, 사법부 등으로 범위를 넓혀 고위층 자제들의 병역 보직 등을 특별 관리할 수 있는 대책도 만들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