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음식쓰레기 임시적치소 마련키로

하수처리장 용량초과 대비…"악취 대란은 진행 안될 듯"

사진 = 영천시의 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업체에 도착한 트럭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사진 = 영천시의 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처리업체에 도착한 트럭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1. 음식물쓰레기 수거가 중단된 지 3일째, 대구 달서구의 한 아파트. "엄마, 이게 무슨 냄새야?" 현관을 나서던 아이가 코를 찌르는 악취에 얼굴을 찌푸렸다. 이미 아파트 단지는 음식물이 썩는 냄새가 진동하는 상황. 음식물쓰레기 폐수 처리가 불가능해지면서 민간처리업체들이 수거를 중단한 탓이다. 주민들은 구더기가 들끓는 음식물쓰레기통에 약을 뿌리고 썩지 않도록 소금까지 뿌렸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2. 대구 남구의 한 주택가. 집 앞에 내놓은 종량제봉투들이 이리저리 뜯겨 있었다. 음식물쓰레기 냄새를 맡은 길고양이들이 발톱으로 긁어낸 흔적이었다. 주택가 곳곳에는 주민들과 인근 식당에서 내놓은 음식물쓰레기가 마구 뒤섞여 비위를 자극했다. 특히 상인들은 매일 나오는 엄청난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지 못해 아예 장사를 접는 이들까지 생겨났다.

앞서 두 이야기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중단 사태 이후 우려되는 상황을 가상한 것. 아직까진 가상일 뿐이지만 현재 음폐수 처리를 위해 24시간 가동 중인 신천하수병합처리장과 서부하수처리장 중 한 곳이라도 고장 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 자체가 중단되고 쓰레기 대란이 올 수밖에 없다.

우선 민간처리업체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는 지역은 피해를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된다. 대구시내 8개 구'군 중 민간업체가 수거, 처리를 위탁하는 지역은 남구와 서구, 달서구, 달성군 등 모두 4곳.

특히 공동주택이 상대적으로 고통지수가 높을 수밖에 없다. 공동주택은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이 한 곳에 모여 있고, 한 번에 배출되는 양도 많다. 업체들은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한 달서구 주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한국음식물폐기물자원화협회 최성근 영남권협의회장은 "일반 주택의 경우 몰래 종량제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넣어 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아파트는 관리업체가 제지를 하기 때문에 그마저도 불가능하다"며 "현재까지는 괜찮지만 만약 하수처리장이 고장이라도 난다면 그야말로 대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용량을 초과할 경우를 대비해 임시 적치소를 찾고 있다. 2008년 해양배출업체 파업, 2009년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 파업 당시 음폐수를 달서천 분뇨처리장 탱크나 방천리 쓰레기매립장에 임시 보관한 적이 있다. 시는 두 곳을 활용하면 한 달가량은 버틸 것으로 보고 있다. 최악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악취방지용 톤백(대형화물을 담는 천가방)에 담아 적치소에 보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대구시 진용환 환경녹지국장은 "국토해양부에서 해양배출업체들을 상대로 복귀 독려를 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의 방재처리선을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어서 '대란'까지 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하수처리장이 무리 없이 돌아가는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큰 지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