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중증외상센터 설치'운영 허점 없이 추진해야

정부가 2016년까지 전국 16개 시도에 중중 외상 환자 전문 치료 시설인 '중증외상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총상, 자해 등 응급 치료를 요하는 환자들이 연간 2만 명가량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긴급 후송 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거나 첨단 시설과 전문 의료 인력 부족으로 끝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례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여 무척 다행한 일이다.

현재 국내 병원 중 그나마 중증 외상 환자를 전담 치료할 인력이 갖춰진 곳은 서울대'아주대병원이 고작이다. 200개 넘는 중중외상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이나 독일(90개), 일본(22개)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예방할 수 있는 환자의 외상 사망률도 무려 35%에 달한다. 이는 전문 치료 시스템의 미비로 외상 환자 10명 중 3.5명이 사망한다는 소리다. 선진국의 경우 사망률이 20%로 우리보다 훨씬 낮다.

현행 응급 치료 체계와 달리 중증외상센터 시스템은 전용 검사 장비와 수술실, 중환자실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신속하고 집중적인 치료가 가능해 환자의 소생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 하지만 전문 의료 인력이 많이 부족한 현실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아무리 시스템과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하더라도 풍부한 경험과 숙련된 전문의가 모자란다면 효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는 전문 인력 확보와 외상센터 운영에 필요한 예산 지원이 중증외상센터 존립의 관건임을 인식하고 중장기적인 세부 추진 방안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어려운 외과 수술을 기피하는 세태 등을 감안하면 쉽지 않은 일이지만 우대 정책 등을 통해 전공의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등 외상센터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