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 행정 통합, 백년대계를 생각하라

서울 수도권 집중화에 위축되는 대구경북의 위상과 떨어지는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구와 경북의 행정 통합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행정 통합에 앞서 두 지역이 지난 2006년부터 추진했던 경제 통합이 관심 부족과 이를 추진할 대구시, 경북도의 공조 결여, 기업'국책 사업 유치와 지역 현안 등을 둘러싼 시'도의 대립 갈등으로 사실상 중단된 상태인 만큼 행정 통합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또 이명박 정부 들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비롯해 가속화되는 FTA 체결과 기업 경쟁력 강화 명목으로 진행된 수도권 규제 완화, 경기도의 대수도권론 등으로 기업, 금융, 인구의 수도권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을 꾀했던 지난 정부 때와는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이 다르다. 대구와 경북이 각자 따로 활동하기엔 동력이 떨어지는 환경이다.

사실 지난 세월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경제성장을 거듭했고 행정 수요도 폭증했다. 이에 1981년 대구와 경북은 분리됐고 시'도의 성장 규모도 늘었다. 그러나 고령화, 인구 감소와 맞물려 지방 인구는 줄고 고령화되고, 수도권 흡수로 경제는 쪼그라들었다. 대구시와 경북도, 광역'기초자치단체 간 갈등과 소모적 경쟁도 노출됐다.

상황이 달라지면 시스템도 바뀌어야 한다. 기업도 분업 중심에서 통합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달라진 상황에 맞춰 지금 대전충남권, 광주전남권, 부산경남울산의 동남권에서는 광역 행정 및 행정 통합에 대한 공론화가 이뤄지고 있다.

올해 시'도 분리 30년을 맞았다. 경북도청도 2014년 안동'예천으로 옮긴다. 대구경북 미래와 관련, 중대 국면을 맞은 셈이다. 이제 '한 뿌리 두 살림'의 대구경북이 지난 30년간의 분리의 성과, 문제점 등을 살펴 대구경북 백년대계를 위해 행정 통합에 대한 공론화를 할 시점이 됐다는 여론이다.

이를 위해 김범일 시장과 김관용 도지사가 '천년 신라의 얼과 혼이 서린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해 '사심'을 버리고 나서야 한다. 또 대구경북 정치권, 학계, 경제계, 민간단체 등을 망라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으는 데 두 사람이 앞장서야 한다. 함께 사는 대구경북을 위해서 우리 모두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