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新 동의보감] 퇴행성 무릎관절염

"무릎 관절 부담 주지 말고 근력 강화 운동해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골관절 질환 중 특히 퇴행성 관절염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이란 뼈를 덮고 있는 연골이 얇아져 뼈를 보호하는 기능이 약해지고, 뼈끼리 마찰을 일으켜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특히 무릎관절은 인체를 지탱할 뿐만 아니라 걷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수시로 사용되므로 퇴행성 관절염이 가장 잘 생기는 부위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관절 부위의 외상, 관절의 과다 사용, 어긋난 모양으로 잘못 연결된 관절, 또는 과체중으로 관절과 연골에 과도한 부담이 있을 때 관절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발생한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앓게 되면 무릎이 뻣뻣하거나 부어 있으며, 차를 타고 내리거나 앉았다가 일어나기 힘들며,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통증을 느끼게 된다.

한의학적으로 볼 때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크게 두 가지 원인이 있다. 먼저 나이가 들면서 인체의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의 기운이 점차 약해져 인체 근골이 노화되기 때문이다. 즉, 인체의 근본인 정수(精髓)가 말라감에 따라 치아가 빠지고 머리가 하얗게 될 뿐만 아니라 온몸의 근육이 마르고 관절이 뻣뻣해지는 것이다.

또한 노화뿐만 아니라 풍(風), 한(寒), 습(濕) 세 가지 기운이 인체에 노출되면 퇴행성 관절염은 더욱 악화된다. 특히 겨울철 한기에 의해 관절이 상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냉기(冷氣)가 신경을 자극하고 점차 차가운 기운이 모든 조직을 수축시켜 혈액순환을 방해해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골막에 염증이 생기며 풍습(風濕)의 기운에 의해 관절 여기저기가 아프고 붓게 된다.

물론 노화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노화에서 벗어나 퇴행성 변화의 정도가 심해지면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평소에도 꾸준히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운동과 식생활을 한다면 관절의 노화를 더디게 할 수 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의 경우 무릎이 아파 운동을 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무릎이 아프다고 운동을 포기하지 말고 무릎 관절에 체중이 실리지 않으면서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시간과 강도도 서서히 늘려가야 하며 관절이 붓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매일 수차례 나눠서 하는 게 좋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에는 '무릎 펴고 다리 들기'나 '무릎 펴고 발목 몸쪽으로 당기기'를 하면 좋고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은 심폐기능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체중을 줄여 무릎 관절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음식으로는 현미, 잡곡, 우유, 고등어'연어 등 등푸른생선을 통해 비타민과 마그네슘, 칼슘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고 짠 음식이나 가공 식품은 칼슘과 미네랄의 배설을 촉진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전수영기자 poi2@msnet.co.kr

도움말'권오곤 대구한의대 한방재활의학과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