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게 유치한 제2항공교통센터(ATC'이하 항공센터)를 두고 일부 대구 동구 주민들이 유치 반대운동을 하고 있어 대구시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달 말 민간'군용 항공기에 대한 비행 허가 발부와 관제 기능을 담당하게 될 항공센터를 동구 신서혁신도시 서북쪽과 인접한 상매동에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사업비 750억원을 들여 내년부터 기본'실시설계 등을 거쳐 2015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시는 항공센터 유치를 위해 지역 정치권과 손을 잡고 포항, 청주, 사천 등 전국의 9개 자치단체들과 경쟁을 거쳐 어렵게 유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 동구 주민들은 항공센터 유치가 K2 공군기지 이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유사시 적의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센터 유치를 반대하고 있다.
이재혁 대구경북녹색연합 운영위원장은 21일 성명서를 통해 제2항공교통센터의 대구 유치가 ▷K2비행장의 이전에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유사시 적의 공격목표가 될 수 있으며 ▷남부권 신공항 입지가 결정된 뒤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구시와 전문가들은 이들의 주장이 실제 사실과는 다른 논리라며 반박하고 있다. 항공센터 유치와 K2 이전은 전혀 관계가 없고, 오히려 지역경제와 혁신도시 성공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 일부 항공전문가들은 항공센터 유치를 축하하지는 못할망정 딴지를 거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재경 대구시 교통국장은 "항공센터는 200여 명의 인력이 상주 근무하게 돼 고용 창출에 도움이 되고, 신규 주민 증가에 따른 혁신도시 및 주변 아파트 분양률이 증가해 혁신도시 성공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도재준 대구시의원은 "항공센터 이전을 주관하는 부서가 국방부가 아닌 국토해양부라는 것만 봐도 K2 이전 여부와는 관계없다"며 "게다가 K2에 있던 항공센터가 2001년 인천으로 이전했음에도 K2 이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지 못한 것을 볼 때도 항공센터와 K2 이전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윤대식 영남대 교수(도시공학과)는 "제2의 항공센터를 두려는 것은 인천항공센터 하나만으로는 국가중추 공항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항공센터의 대구 유치를 통해 오히려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는 호기"라며 일부 주민들의 반대를 우려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