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20년, 이렇게 살고 싶어요
"평생 교직에 몸 담았다가 2002년 61세의 나이로 은퇴했습니다. 그동안 숲해설가, 실버전문기자, 자원봉사 등으로 바쁘게 살아왔고, 앞으로 남은 시간 역시 다문화가족 상담, 한국어 교사 등으로 제3의 인생을 살고 싶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한 달 동안 '8만시간 디자인 공모전'을 진행, 이같은 은퇴 후 계획을 에세이에 담은 신정모(70)씨를 최우수상(복지부장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공모전은 국민에게 은퇴 후 삶을 미리 계획하고 노후를 준비하는 기회를 주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은퇴 후 현재 삶과 미래 설계를 글로 적은 '8만 시간 에세이'와 은퇴 후 모습을 사진에 담은 '8만 시간의 꿈' 등 두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다. 8만 시간은 은퇴 후 약 20년의 기간을 뜻한다.
에세이 부문 우수상으로는 미래를 위한 세 가지 원칙을 세우고 열정과 시간을 투자하기로 결심했다는 박태진(62)씨의 '열정과 감동이 있는 삶을 위하여', 은퇴 후 실버인력뱅크를 통해 취업에 성공하고 자원봉사 활동에 나선 차갑수(67)씨의 '8만시간의 여정, 그 공식을 찾아서'가 뽑혔다.
사진 부문에서는 은퇴를 앞둔 김슬규(54)씨의 작품 '자신에게 가식 없는 정직한 땀의 승부가 인생이다'가 최우수상을 받는다. 입문 3년차 마라토너인 그는 "몇년 뒤 은퇴하면 몽고초원마라톤과 압록강마라톤에 참가해 선조의 숨결을 느껴보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은퇴 후 시간을 재능 기부와 사회 봉사에 쓰고 싶다는 김정화(38)씨의 '8만 시간의 재능기부' 사진도 최우수상 수상작으로 결정됐다.
이번 공모전에는 모두 399편의 작품(에세이 221편, 사진 178편)이 접수됐고, 분야별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최우수상 3편, 우수상 6편, 장려상 15편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복지부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에서 시상식을 열고 수상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