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비누거품이 된 금호강
저녁햇살 타고 누나의 긴 목소리.
강둑 위를 통통 굴러 왔었지.
아양교 건너 작은 고개 큰 고개 오를 때
사과 상자 가득 실은 구루마.
당기는 말등 짙은 벽돌색으로 젖어 헉헉
연방 고함 지르며 밀어대는
아버지 땀 흐르는 목소리 지금도 힘겹다.
나무상자에 무릎 맞대고 앉아 흔들리는 홍옥들만
수학여행 떠나는 기차만큼 신 나 있었다.
아직도 군용트럭 소리가 굴러다니는 자갈밭
운전병 기합소리는 메꽃으로 하늘거리고
아버지 어깨가 일찍 기울어진 이유를
알겠다.
칠성시장 도착하기까지
그 먼 시간 달려오고 있었던가 보다.
금호강물 아양교 발목잡고 끄르륵대고 있다.
-'아양교에 서서' 부분
'홀로서기'라는 시집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바 있는 서정윤 시인의 최근작입니다. 시인은 아양교 다리 위에서 금호강을 바라보고 있네요. 강의 이미지는 힘이 셉니다. 그래서 강을 바라보는 사람은 삶, 역사, 시간 등을 떠올릴 수밖에 없지요. 이 시도 그 이미지의 힘 속에 살아 있습니다.
강을 바라보는 사람의 눈에 과거와 현재는 강물의 흐름처럼 맞물려 있습니다. 이 시에 과거와 현재가 한 몸으로 섞여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인의 마음속에서 홍옥을 가득 실은 아버지의 말 수레는 영원히 칠성시장에 도착하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칠성시장이 멀어서가 아닙니다. 금호강물이 아양교 발목잡고 머물려 하듯, 아버지에게로 흐르는 기억이 시인의 마음속에서 흐르려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끄르륵대는 건 강물일까요, 시인일까요? 시인에게 물어보시길.
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