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령자 5명 중 3명은 자녀와 함께 살지 않아

고령자 5명 중 3명은 자녀와 함께 살지 않아

핵가족화가 가속화한 탓에 홀로 사는 노인이 늘고 있다. 농촌 지역에선 65세 이상 고령자 4명 중 1명은 독거노인이다.

독거노인을 포함해 자녀와 같이 살지 않은 고령자도 증가하고 있다. 혼자 살거나 배우자, 친척 등과 사는 이들이 5명에 3명꼴이나 됐다.

9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작성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결과 심층분석을 위한 연구'를 보면 2000년만 하더라도 65세 이상 고령자가 기혼 자녀와 함께 사는 이들이 많았지만 10년 후엔 부부끼리 사는 이들이 대세였다.

결혼한 자녀가 분가한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원시자료를 토대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거주 형태를 자녀 없이 사는 경우, 기혼자녀와 사는 경우, 미혼자녀와 사는 경우로 나눴다. 자녀 없이 사는 경우를 혼자 사는 경우, 부부끼리만 사는 경우 등으로 세분했다.

2000년엔 고령자는 주로 기혼자녀와 사는 경우(35.7%)가 많았다. 부부끼리만 살거나 혼자 사는 비율은 각각 29.2%, 16.8%였다.

10년 후엔 상황이 달라졌다. 부부끼리 사는 이들이 35.9%로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비율(23.5%)을 크게 넘어섰다.

혼자 사는 비율까지 포함하면 고령자 가운데 자녀 없이 사는 비율은 2000년 50.9%에서 2010년 61.8%로 10.9%포인트나 증가했다.

혼자 사는 고령자엔 할머니가 많았다. 2010년 현재 65세 여성 고령자 중 29.1%가 독거노인이다. 같은 연령대 남성 중 독거노인은 10.3%에 그쳤다.

독거노인 비율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65~69세 중 혼자 사는 이들은 15.9%에 그쳤지만 80~84세는 30.0%까지 늘어났다. 85세 이상에서 그 비율이 다소 떨어져 4명 중 1명이 홀로 살았다.

도시보다 농촌에서 고령자가 혼자 또는 부부끼리 사는 비율이 높았다.

도시에선 65세 고령자 중 독거노인의 비율이 18.4%이나 농촌은 26.8%였다. 4명 중 1명이 따로 산 셈이다.

특히 농촌에서 자녀와 같이 살지 않는 고령자의 비율이 74.2%에 달했다. 농촌의 성인 자녀가 교육이나 직장 등의 이유로 도시로 이주한 탓에 농촌엔 노부모만 남게 된 사례다.

보고서는 "고령층에서 보이는 1인 가구 형성 경향은 지속적으로 확대돼 홀로 사는 노인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 대안이 시급하다"며 "지난 수십년간 젊은층이 대규모로 전출한 농촌에 사는 노인들, 배우자를 잃고 혼자 사는 여성 노인들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