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승진기준, 직원들이 직접 결정한다
서울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직원들이 승진·전보심사 기준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인사시스템을 마련한다.
또 올해 서울시 신규 공무원 중 10%는 장애인을 채용키로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오찬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6대 인사원칙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시 인사정책의 근간으로 내세운 6대 원칙은 공정, 소통, 책임, 감동, 공감, 성장 인사다. 이는 박 시장이 취임 후 첫 정례간부회의에서 강조한 내용이다.
시는 그동안 인사 부서에서 일방적으로 승진심사 기준을 정했던 방식을 버리고 직원들이 직접 승진기준 수립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행정·기술·기능 분야별 5급 이하 실무직원 20여명은 구체적인 기준 마련을 위한 승진심사기준 사전선정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결정된 기준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내부망을 통해 사전 공개된다.
지난해 15.3%였던 5급 이상 여성 관리자 비율을 2020년까지 21.6%까지 높여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유도하기로 했으며 승진이 적체된 소수직렬과 현장·현업부서 인력을 배려하기로 했다.
전보 시 실·국장이 직원을 선택하도록 했던 드래프트제는 전면 폐지되며 직원 개인의 선호를 반영한 '희망전보제도'가 도입된다.
승진과 마찬가지로 전보 기준도 5급 이하 대표 직원들이 참여하는 전보기준 사전선정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이는 개인의 비전을 키워주기 위한 보직관리 프로그램인 경력개발제도(CDP)와 연계된다.
개인의 선호를 중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서 간 불균형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선호부서의 연속근무는 제한된다. 기피부서는 직위공모제를 통해 필요 인력을 공개 모집하도록 하고 인센티브 제공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회적 약자의 공직 진출도 확대된다. 올해 신규 공무원 중 10%를 장애인으로 채용하기로 했으며 9급 전체의 10%를 저소득층, 9급 기술직의 30%를 고졸자로 채우기로 했다.
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교육훈련 기회도 늘어난다.
장기 국외훈련은 환경, 복지 등 전문분야, 단기 국외연수는 실무직 위주의 선진도시기법 현장체험으로 운영된다. 퇴직을 앞둔 공무원의 인생설계 지원을 위한 퇴직준비 프로그램도 가동된다.
박 시장은 "공무원들이 창조적인 이슈를 선점하기 위해 해외연수를 강화해야 한다"며 "이에 대해 세금낭비라는 지적도 있지만 가만히 있다가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을 세우면 그것이야 말로 세금낭비"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편법 운영의 문제점이 지적됐던 성과포인트는 대폭 축소하기로 했으며 가정화목 휴가제, 재충전 휴가제 등 다양한 휴가제도도 도입된다.
출산·육아 공무원, 원거리 출·퇴근자를 위한 유연·재택 근무제도 확대 시행되며 시 행정포털 내 '원순씨의 고충상담실' 코너를 마련해 직원들의 의견을 시정에 반영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기존 성과 중심의 인사시스템은 화합과 협력의 가치를 흔들고 직원들의 피로를 누적시킨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이번 인사계획은 경쟁과 협업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원칙을 기본으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