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동상 등 기념물 제작을 둘러싸고 논란이 이어지면서 이에 대한 기준과 절차 등 합리적인 시스템이 서둘러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명사의 기념물은 당사자에 대한 평가를 떠나 지역민의 가치와 정서를 반영하는 상징물이라는 점에서 공감대 없이 무리하게 진행할 일이 아니다. 한 번 건립하면 움직이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그만큼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
문경시가 추진 중인 채문식 전 국회의장 흉상 건립은 좋은 본보기다. 문경시가 시비 2억 원을 들여 도심 공원 내 동상을 세우려 하자 시민사회단체가 반발하는 등 논란을 빚고 있다. 고인의 행적이나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 건립 정당성도 문제거니와 예산 집행에 있어 말썽이 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이처럼 기념물 제작이 졸속 추진되거나 무리하게 진행되면서 말썽이 된 사례가 한두 번이 아니다. 지난해 구미시 상모동 생가에 건립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설계안이 김일성 동상과 비슷하다는 논란이 일면서 크기를 줄이고 자세를 바꾸는 등 시행착오를 겪었다. 건립 의욕만 앞선 나머지 세부적인 계획이나 절차 등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조각상 건립을 둘러싼 논란도 동상 건립이 지역사회의 공감대 등 합리적 절차나 시스템 없이 허술하게 추진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다.
기념물 건립은 몇몇 주변 사람의 발의로 졸속으로 추진할 일이 아니다. 당사자의 행적과 평판 등 충분한 평가와 여론 수렴, 예산 마련 등 절차를 거쳐 신중히 진행해야 할 일이다. 혈세가 들어가는 경우라면 더욱 신중해야 한다. 지금까지 노출된 문제점을 잘 살펴 앞으로 이런 시행착오가 없도록 건립 기준 등 제도적 장치 마련에 힘써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