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위안부 역사관 건립 표류, 민·관이 함께 성사시켜야

대구에 '평화와 인권을 위한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세우려 하나 3년째 표류하고 있다. 2010년 1월 위안부 피해자인 김순악 할머니가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써달라는 유언과 함께 5천만 원을 맡긴 후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 나서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에 장소 제공을 요청했다. 이후 2'28 민주운동기념회관과 옛 해서초교 건물 등이 대상으로 떠올랐으나 역사적 의미가 다르거나 초등교육 시설과 맞지 않다는 이유로 무산됐다.

이 때문에 대구'경북에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된 26명 중 세상을 떠난 19명의 유품이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사무실 한쪽과 창고에 보관 중이다. 반면 서울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5월 5일에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을 개관한다. 정부의 재정 지원 없이 시민 모금으로 20여억 원을 모아 거둔 성과라고 한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아픈 역사는 기록으로 남겨 후손들이 되새길 가치가 있다. 그런 면에서 위안부 역사관 건립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 등이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나서 적합한 장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대구시의회가 4월 중에 대구시가 역사관 장소를 제공하는 관련 조례를 발의할 예정이라고 하니 기대를 걸어본다.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도 중요하다. 일본 정부에 대해 피해 배상을 촉구하고 있는 위안부 문제가 국가적 차원의 과제이니만큼 위안부 역사관 건립 역시 민간에만 맡겨둘 일은 아니다. 또 많은 시민이 위안부 역사관 건립에 동참한다면 더 의미 있을 것이다. 민과 관이 함께 나서 위안부 역사관을 세움으로써 슬픈 역사를 잊지 않는 사회적 교훈도 커질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