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에는 비슬산 일대에 산재한 암자가 3천여 개소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 가운데 지금도 남아있는 옥포면 반송리의 용연사를 으뜸으로 쳤다. 용연사는 914년(신라 신덕왕 3년) 보양(寶壤)이 창건했다는 기록만 있고 고려시대까지의 연혁은 전해지지 않는다.
이후 1419년(조선 세종 1년) 천일(天日)이 중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다. 1603년(선조 36년) 탄옥'경천 등이 사명대사의 명으로 중창했다. 1621년(광해군 13년) 범종각을 지었고 1650년(효종 1년)에 다시 법당과 요사채 등이 불에 탔다.
1653년에는 홍묵이 대웅전을 지었고 승안이 명부전을 건립했다. 이어 1655년 희감과 홍묵이 함허당과 관정료를 세웠고 이듬해 청진이 관음전을 지었다. 1658년에는 도행이 명월당을, 그 이듬해엔 학신이 향로전을, 1660년(현종 1)에는 일순이 약사전을 차례로 건립했다.
1670년 천왕문 앞의 석교가 완성됐고, 1673년에는 자진이 세존부도와 비석을 세웠다. 1722년(경종 2년)에는 대웅전과 종각을 수리했는데, 당시 절 규모는 2백수십 칸에 이르렀으며 거주하는 승려만 500여 명에 이르렀다 한다. 현존하는 건물은 극락전, 적멸보궁, 나한전을 비롯해 사명당, 보광루, 일주문, 사천왕문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39호인 석조계단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인 삼층석탑 그리고 용연사 극락전, 용연사 부도군 등이 있다. 달성'김성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