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순을 훌쩍 넘은 노모가 계신다. 지금은 대구 아파트에서 홀로 생활하고 계시지만 대구테크노폴리스로 농토가 수용되기 전까지만 해도 여든이 넘은 연세에도 농사를 지으셨다.
벼농사는 비료 주는 것이 참 어렵다고들 한다. 왜냐하면 욕심을 내어 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잎만 무성해진다. 그러면 햇빛을 잘 못 받아 병충해가 심하여 벼를 망치게 된다. 반대로 비료를 적게 주면 당연히 소출이 적다.
자식을 기르고 가르치는 것이 농사와 비슷하기 때문에 '자식 농사'라 하는 것 같다. 요즈음 학부모들은 아이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랑곳하지 않고 너무 많은 것을 주려고만 하는 것 같다.
교육문제로 학교도 학부모도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참 걱정들이 많다. 학교나 학부모 모두 아이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겠다. 그리고 원할 때 줄 수 있어야 하겠다. 벼를 심어놓고 기다리지 못하고 억지로 뽑아 올리는 어리석은 농부가 되지 말아야 하겠다.
신재진 singane@edunavi.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