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두화(佛頭花).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보리수, 연꽃과 함께 불교나 사찰을 생각나게 하는 나무이다. 아주 작고 하얀 꽃들이 모여 동그랗게 피어 있는 꽃 모양이 부처님 머리를 닮았다 하여 '불두화'라고 한다. 석가탄신일을 축하하 듯 매년 음력 사월초파일을 전후해서 새하얀 꽃송이를 뭉게뭉게 피워낸다. 하얀 고깔모자를 연상케 해서 '승무화', 흰쌀밥 같아 '밥꽃' 또는 '밥티꽃', 흰 사발 같다 해서 '사발꽃', 북한에서는 '큰접시꽃'으로 불린다. 눈싸움할 때 뭉쳐진 눈덩이 같다 해서 영어이름은 '스노우 볼 트리'(Snowball tree)라 한다.
꽃 모양이 수국과 비슷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전혀 다름을 알 수 있다. 태생부터가 수국은 범의귀과 식물이고, 불두화는 인동과 식물이다. 수국의 잎은 깻잎처럼 둥글고 불두화 잎은 세 갈래로 갈라져 쉽게 구별이 된다. 둘 모두 무성화(無性花)여서 스스로 번식이 안 돼 꺾꽂이, 접붙이기, 휘묻이 등을 통해 식구수를 늘린다.
불두화의 조상은 백당나무인데 백당나무 꽃은 접시모양의 가장자리에 무성화인 불두화의 꽃잎이 벌나비를 유혹해서 가운데 볼품없는 모양의 유성화가 수정할 수 있도록 서로 돕는 꽃이다. 이것을 육종해서 유성화 부분을 모두 무성화로 만들어 꽃 모양을 크게 예쁘게 진화시킨 것이 불두화이다.
이렇게 열매를 맺을 수 없는 상징성 때문인가. 불두화는 유독 사찰 내에 많이 심어져 있다. 대웅전 뜰에 피어난 불두화는 법당을 향한 채 부처님 설법도 듣고, 불탑들과 두런두런 불경도 암송한 내공이 쌓여서인지 볼 때마다 자비와 넉넉함으로 가득차 있다. 불두화는 꽃말 또한 '은혜와 베풂'이니 가정의 달이자 보은의 달인 5월에 더없이 잘 어울리는 꽃이다.
불두화는 꽃이 피어 있는 동안 색깔이 세 번 바뀌는 것을 아는 이는 드물다. 갓 피어날 땐 수줍은 연초록이고 절정에 이르면서 순백색이 되고 질 무렵이면 어쩔 수 없이 누런 꽃잎으로 낙화하고 마는 것이 불두화다. 마치 인생무상(人生無常)을 깨달은 꽃처럼 느껴져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다.
'잡아함경'에 나오는 이야기 한 토막이다. 코사라국의 왕 바세나디의 방문을 받은 부처님은 세상에는 네 종류의 인간이 있다고 이른다. 어둠에서 어둠으로 가는 인간,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인간, 빛에서 어둠으로 가는 인간, 빛에서 빛으로 가는 인간이 그들이라고 했다. 부처님 오신 날이 곧 다가온다. 우리가 어떤 인간의 유형에 속하는가는 각자의 마음먹기에 달렸지만 그 마음먹기의 길목에 늘 불두화가 피어 있다는 것을 상상해 보자. 이 꽃은 그래서 더욱 우리네 삶과 잘 어울리는 것 같다.
김해숙(다사꽃화훼단지 대표)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